연구자료 분류

고대사 관련 논문 목록

컨텐츠 정보

  • 558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그동안 고대사 관련 글을 쓰며 참고했던 논문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의 목록을 정리했습니다.



기경량, 고국원왕대 ‘平壤東黃城’의 위치와 移居 기록의 성격, 한국학연구, 2020.5

김재윤, 「요동지역 초기 청동기문화의 형성과 한반도 무문토기의 기원」,한국청동기학보, 제4호, 2010

도수희, 고구려어로 착각한 전기 백제어에 대하여, 한글, 2007 여름

박경신. "原三國時代 中島類型 聚落의 編年과 展開." 국내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9. 서울

박순발, 1993, 「우리나라 초기철기문화의 전개과정에 대한 약간의 고찰」, 『고고미술사론』 3, 충북대학교고고미술사학과

박순발, 2004, 「요녕 점토대토기문화의 한반도 정착 과정」, 『금강고고』 1, 충청문화재연구원

박순발, 2015, 점토대토기문화의 기원과 전개, 한국청동기학보 제16호

박지희. "실직국의 역사고고학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가톨릭관동대학교, 2016. 강원도

이승호, 관구검기공비의 해석과 고구려위 전쟁의 재구성, 목간과 문자, 2015

이종록, 高句麗 前期 동해안지역 복속과 濊族, 박사학위논문, 2022

이후석, 「요동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체계와 사회」,숭실사학, 제45집, 2020

장병진, 고구려의 대방 지역 진출과 영역화 과정, 고구려발해학회, 2020

정동준. (2019). 문헌사료로 본 백제의 마한 통합과정. 백제학보, 29, 5-30.

조법종. "낙랑군의 성격문제." 韓國古代史硏究 32.- (2003): 161-189. 낙랑군의 낙랑국 계승 문제를 중심으로.

천선행, 「한국 무문토기문화의 공간적 범위에 대하여」, 한국청동기학보, 제22호, PP.26~48, 2018

천선행, 「한반도 무문토기문화 형성기의 중국동북지역과의 관계」,『湖南考古學報』48., 2014



이 논문들에는 우리가 '통설'이라고 알고 있는 것과는 조금 다른 내용들이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참고하세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19 / 5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319 / 5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