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플 만들기 분류

FileZilla 설치하고 서버에 접속하기

컨텐츠 정보

본문


FileZilla는 서버에 접속해서 쉽게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사용하기도 간편하니까 다운 받아서 설치하고 실행해주세요.


위의 빨간 박스 부분의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OS에 맞는 버전을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FileZilla 받으러 가기))


설치하고 실행하면 아래의 스샷과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1. 접속하려는 서버의 IP 또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2. root 또는 관리 권한을 가지고 있는 계정의 ID를 입력합니다.


3. 접속하려는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4. 포트 번호는 22를 입력합니다.


다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5. 성공적으로 접속을 했다면, 다음부터는 재입력을 할 필요없이 아래삼각형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서버에 빠르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6. 내 컴퓨터의 폴더 구조를 보여줍니다.


7. 서버의 폴더 구조를 보여줍니다.



서버에 접속해보면 프로그램 우측열에 서버의 폴더구조를 볼 수 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윈도우와는 매우 다른 모습입니다.


원래대로라면 putty로 접속하고 커맨드를 입력해서 각각의 폴더로 진입하거나 파일을 편집하는데, 초보자인 우리들은 처음부터 그런 것을 하기란 쉽지가 않죠. 각각의 폴더를 클릭해서 어떻게 생겼는지 구경 한 번 해보세요. root 또는 관리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접속을 했기 때문에, 파일도 삭제를 할 수 있는데, 함부로 삭제하면 서버가 망가지지 조심하세요.


잘 보면 etc 폴더가 보이는데, nano /etc/hosts 명령어를 사용해서 hosts 파일을 편집했던 기억이 날 것입니다.


1. / 는 리눅스 서버의 최상위 폴더입니다.


2. /home 폴더에는 생성된 사용자들의 폴더가 모이는 곳 입니다. 이전 글에서 만들어준 계정의 사용자 폴더가 있을 것입니다.


3. /root 폴더는 절대자의 폴더입니다.


4. /var 우리는 나중에 이 폴더 속에 사이트를 만들어 줄 겁니다.


FileZilla 프로그램을 실제로 이용하는 것은 나중에 할 것이지만, 일단 서버의 폴더 구조를 좀 더 쉽게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설치해 봤습니다 :)

관련자료

댓글 1

역적모의님의 댓글

https://winscp.net/eng/docs/lang:ko

FileZilla 대신에 추천 받은 FTP 프로그램인데, 찾아보니 괜찮은 것 같아요.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사용방법은 비슷할테니 이용해볼 사람은 해보세요 :)
수다플 만들기 43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수다플 만들기 43 / 1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