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플 만들기 분류

서버설치 후 할 일 - 4. 서버이름 정해주기

컨텐츠 정보

본문

서버를 하나만 사용할 사람이라면 딱히 안해주고 넘어가도 상관은 없지만, 메뉴얼에서 해주라고 하니까 일단은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정해주는 서버의 이름은 나중에 네트워크 등에 접속했을 때 표시되는 이름입니다. 여러 대의 서버가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면 관리하는 사람의 입장에선 각각의 서버가 어떤 장치인지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니, 그런 점을 보완해주는 용도도 있습니다.



root는 현재 로그인 한 사용자의 ID를 표시해주는 부분입니다.


localhost는 현재 컴퓨터 혹은 서버의 이름을 나타내주는 부분입니다.


@은 중간에 둘을 구분해주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hostname 명령어를 쓰고 엔터를 누르면 현재 컴퓨터 혹은 서버의 이름을 보여줍니다. @ 뒤에가 서버의 이름이라고 했으니까 당연히 localhost 란 내용이 출력될 것입니다.



hostnamectl set-hostname 정해주고-싶은-서버이름


위의 스샷처럼 명령어와 바꾸고 싶은 이름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서버의 이름이 바뀌게 됩니다.


1. hostnamectl - 호스트네임을 컨트롤 하겠다는 명령어


2. set-hostname - 호스트네임을 정해겠다는 명령어


3. 정해주고 싶은 서버이름 - 영어로 알아보기 쉬운 내용으로 정해주면 됩니다. sudaplay-test.com과 같이 사이트 명을 넣어도 되고, 선호하는 이름을 정해주어도 됩니다.


위의 명령어를 넣고 엔터를 누르면 서버 이름이 바뀌게 될 것입니다.




제대로 바뀌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hostname 명령어를 한 번 더 실행해주면 바뀐 서버이름이 출력될 것입니다.


그런데 여전히 화면에서는 root@localhost 처럼 표시가 될 것입니다.



그럴 때 logout 명령어로 로그아웃을 해준 뒤에 다시 재접속을 해주면 바뀐 서버 이름으로 표시가 됩니다 :)


---------------------------------------------------------------------


hostname - 현재 서버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hostnamectl set-hostname 정해주고-싶은-서버이름 - 서버의 이름을 바꿉니다.


logout - 현재 접속을 해제합니다.

관련자료

  • 서명
    배워서 남주자.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수다플 만들기 43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수다플 만들기 43 / 1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