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노벨상 수상 단체는 한림원 학술원 ?
컨텐츠 정보
- 515 조회
- 2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저런 유래가 있는 단어인지는 몰랐네요
무식 무식...
당나라 시절 학술원을 저리 불렀다고 합니다
좋은 생활 지식이라 옮겨 봅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4101114301348365#:~:text='한림원(翰林院)'이,은 관청(院)이다.
'한림원(翰林院)'이 국가 학술기관의 이름으로 쓰인 건 8세기 중국 당나라 때였다. 당나라 현종은 왕립학술기관으로 한림원을 설치했다. 한림의 뜻은 붓(翰)이 모인 숲(林)이고, 원은 관청(院)이다.
한림원은 국가 문서를 생산·관리하고, 유교 경전을 연구하며, 황제의 자문에 응하는 등의 기능을 했다. 이후 한림원은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청나라 대까지 계승됐다. 한국사에서는 같은 이름의 국가 학술기관이 고려 때 있었다. 신라에는 당나라를 모방한 한림(翰林)이 존재했다. 이처럼 한림원은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국가 학술기관의 대표적인 명칭이다.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의 각 국가는 절대왕정 시절에 최고의 학자를 선발·지원할 목적으로 학술기관을 세웠다. 이것을 보통 영어로 로열 아카데미(Royal Academy)라고 불렀다. 예를 들어 세계적인 음악대학인 영국의 왕립음악원(Royal Academy of Music)이 있다. 따라서 서양 여러 나라에서 학문·예술에 관여한 아카데미는 '한림원, 학술원, 학사원' 따위를 이르므로, 한림원으로 교체 가능한 맥락이라면 한림원을 쓸 수 있다고 국어국립원은 설명한다.
/
관련자료
-
서명물속에서 꼬르륵 ~~~~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