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ode 새로 만들기
컨텐츠 정보
- 703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Linode에 로그인하면 가장 먼저 반겨주는 화면입니다. 자신의 Linode가 잘 돌아가고 있는지 보여주는 화면이죠. 이 계정에선 수다플레이가 잘 돌아가고 있다고 보여주네요.
아직 만들어진 Linode가 하나도 없다면, 아무 것도 나타나진 않을 것입니다.
만약 다른 화면이 뜬다면
1. Linode 메뉴를 클릭
2. Create 혹은 Create Linode 라고 써 있는버튼을 눌러서 새로운 Linode를 생성합니다.

파란색 Create Linode 버튼을 눌렀다면 이런저런 설정에 관한 내용이 주루룩 나올 것입니다.
처음에 나오는 것들부터 설명을 하자면,
1. Linode라는 가상 컴퓨터에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해서 서버로 만들고 사용할 것인데, 그 때 사용할 리눅스를 어느 회사에서 배포하는 제품으로 할 것인지 정하는 메뉴입니다. 리눅스의 핵심은 하나인데, 그것을 개조하고 배포하는 회사의 제품에 따라서 내용물이나 사용법이 조금씩 혹은 아주 많이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버튼을 누르면 Linode에서 제공하고 있는 리눅스의 배포판의 리스트가 나오면서 선택할 수 있는데, 우리는 여기에선 'Ubuntu 20.04 LTS' 라는 제품을 사용하고 그것을 이용해서 설명할 것입니다.
3. 서버를 어느 국가의 도시에 설치할 지 고를 수 있는 리스트가 표시됩니다. 한국 내에서 운용하는 서버가 없기 때문에, 아쉽지만 한국과 가장 가까운 일본 내 서버로 선택을 했습니다. 이전 글에서 속도 테스트를 해보셨거나, 원하는 위치를 정했다면 그 위치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4. 이 화면은 설정되어진 내용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5. 새로운 Linode를 생성하면 25, 465, 587번 포트가 막힌 채 생성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포트는 주로 이메일 등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포트인데, 나중에 추가 작업을 통해서 이 포트들을 열어 주어야 이메일 사이트에서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예전에 무료 사용기간을 악용해서 스펨메일을 대량 발송하던 사기꾼들 때문에 이런 특단의 선조치가 생겼는데, 쉽게 풀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나오는 내용은 Linode를 어떠한 사양으로 만들 것인지 정하는 부분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조립식 컴퓨터를 만들 때 어떠한 부품을 끼워넣을지 정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순히 사이트를 운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서버라면 집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는 고성능의 사양이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월 이용료와 사이트의 예상 트래픽과 사용자들을 고려해서 적당한 선에서 골라주면 됩니다. 각탭에 대해서 설명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1. Dedicated CPU - 안정적인 성능의 CPU 사용(실제 독립된 CPU가 아닙니다)
2. Shared CPU - 성능은 살짝 떨어지지만, 가성비를 위한 공유 CPU 사용.
3. High Memory -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서버.
4. GPU - 고사양 그래픽 성능이 필요한 서버.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4번의 각 탭은 마다 여러 사양의 플랜을 제공하고 있으며, 원하시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5. Dedicated 4GB 플랜을 예로 설명하자면,
Dedicated 4GB - 안정적인 CPU 사용률을 제공하고, 램은 4GB
$30/mo ($0.045/hr) - 월 30달러, 시간당 0.045 달러
2 CPU, 80GB Storage, 4GB RAM - 두 개의 가상 CPU, 저장공간은 80GB, 램은 4GB
4TB Transfer - 월 제공 트래픽은 4TB
40 Gbps In / 4 Gbps Out - 서버의 트래픽 속도를 말하는 것 같은데, 각자의 인터넷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확실치 않습니다.
원하시는 사양과 요금 플랜을 정하셨으면 해당 버튼을 눌러서 체크해 주세요.
다음으로 나오는 것은 만들어 줄 Linode의 이름을 정해주는 것입니다.
1. Linode Label - 스샷처럼 임의의 이름이 미리 적혀있을 것입니다. 그대로 사용해도 괜찮지만, 만들려는 사이트의 주소로 바꾸거나, 알아보기 쉬운 이름(영어)으로 적어주시는 것이 더 좋을 것입니다.
2. Add Tags - 사이트를 여러개 관리하는 사람이라면 태그를 붙혀놓고 따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적당한 이름으로 태그를 정해서 넣어주세요.
마지막 체크부분입니다.
1. Root Password -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만들어질 리노드에 설치될 리눅스”의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정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Root 계정이란 서버에 절대 권력을 가진 사용자를 뜻합니다. 반드시!!! 그 누구도 해킹하지 못할 강력한 비밀번호로 정해주세요. Root 계정의 비밀번호가 뚫리면 그 사이트는 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영어 대소문자와 숫자 등을 이용한 강력한 비밀 번호로 만들 것을 추천드리며, 본인도 잊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2. 새로 만들 Linode 서버를 통째로 백업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추가 요금이 발생하지만,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서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정된 날짜에 따라서 최대 3개의 백업을 자동으로 로테이션 방식으로 백업해줍니다. 해킹이나 불의의 사고를 당했을 때, 백업이 만들어진 시점의 상태로 사이트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만들지 않아도 나중에 사이트를 확실히 만들고 나서 따로 정할 수도 있으니, 필요하시면 체크하시고, 요금 절약을 위해서 나중에 하실 분들은 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이런 저런 설정을 다 하셨다면, 처음에 봤었던 Linode Summary 화면에 자신이 선택한 사양에 대한 요약과 대략적인 월 요금이 표시가 될 것입니다.
다 확인 하셨으면 Create Linode 버튼을 눌러서 Linode를 만들면 됩니다. 참고로 요금은 Linode가 만들어진 순간부터 사용한 만큼 누적 계산이 됩니다.
※ Create Linode 버튼을 눌렀는데 Region(서버위치) 항목에 빨간 글씨가 뜨면서 Linode가 만들어지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것은 현재 해당 위치에 있는 서버에 새로 Linode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나 자원이 없어서 만들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럴 때는 다른 국가나 지역으로 바꾸시지 마시고 30분 정도 지난 후나 추후에 다시 시도하세요. 가장 빠른 서비스를 해줄 수 있는 서버에 사이트를 만들어야만 합니다.
※ Linode를 만들고 서버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기분에 따라 Linode를 삭제하고 다시 만들고 싶은 충동이 들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Linode 자체를 삭제하지 마시고, 재설치 방법을 이용하세요. Linode 자체를 삭제해버린다면 다시 Linode를 만들 때 원하는 서비스 국가 위치에 자리를 잡기까지 여러번 시도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관련자료
-
서명배워서 남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