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ode 둘러보기
컨텐츠 정보
- 667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Linode에 가입하고 계정을 만들었으면 로그인 해봅시다. 구글 계정으로 가입했으면 구글 버튼만 눌러도 알아서 로그인이 될 겁니다.
Linode에 로그인 하면 항상 보게 될 화면입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수다플레이가 동작 중이라는 표시가 나오네요.
처음 Linode에 로그인 했으면, 만들어진 Linode가 없어서 Linode를 만들라는 표시가 나올 겁니다.
Linode를 만들기 전에 잠깐 왼쪽의 메뉴를 살펴보면
Linode : 만들어진 Linode 서버의 현재 상태, 트래픽, 부팅과 셧 다운, 백업 등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Volumes : 서버의 용량을 증설할 때 사용하는 메뉴인데, 디스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NodeBalancers : Linode의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배분해서 사용해주게 하는 것 같은데 안써봐서 모릅니다.
StackScrtips : Linode의 일반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고 공유한 일종의 템플릿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OS에 무슨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했는지 설명을 볼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것에 비슷한 템플릿이면 바로 받아서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무엇을 원하는 지도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처음엔 크게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습니다.
Images : 가볍게 무시해줍니다. 저도 잘 몰라요.
Firewalls : Linode 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할 서버의 방화벽을 조정 해줄 수 있는 메뉴입니다.
Domains : 구입한 도메인을 앞으로 만들 Linode 서버의 웹 사이트와 연결해주는 메뉴입니다.
Kubernates : 알면 편하고, 모르면 어려운 겁니다. 가볍게 넘어가 주세요.
Longview : 서버 모니터링을 쉽게 보여주는 Linode의 프로그램인데, 별도의 요금을 지불해야 하고, 서버에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할니다. 서버의 리소스를 잡아먹기 때문에 사용할 사람만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는 설치에 실패했습니다.
Marketplace : 쉽고 빠르게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워드프레스 같은 멋진 것들을 설치해주는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설치하려는 그누보드는 없으니 가볍게 넘어가줍니다.
Account : 주로 서버비용 결제할 때 사용됩니다.
Help & Support : 도움이 필요할 때 Ticket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상담원과 쪽지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ticket이 영화표 같은 뜻 말고도, 인터넷이나 컴퓨터 시스템 등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전화나 온라인으로 하는 도움요청이라는 뜻도 있네요.
사진에 있는 파란 버튼을 누르면 Linode 또는 여러 서비스 중 하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 Linode를 만들기 전에 메뉴들을 살펴보면서 익숙해져 보세요 :)
관련자료
-
서명배워서 남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