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러우전쟁 상황
컨텐츠 정보
- 674 조회
- 1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위 영상:
우크라이나가 주장하는 기습 과정.
우크라이나는 떨어진 군사기로 인해 과장 발표했음.
지도 좌측에 하르코프(하루키우 Kharkiv)가 보임.
노란색, 친러 지역
파란색, 친우크 지역
위 지도:
러시아가 종전을 원하는 국경 라인.
러시아는 친우크 지역(서부 우크라이나)은 러시아와 한민족이라는 정체성이 없다는 판단 하에 친러 지역까지만 러시아 복귀를 원하는 상황.
그 주요 도시들이 하르코프(하르키우), 드네프로페트로우스크(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오데사를 좌측 바깥을 라인을 국경으로 원하고 계속 진군하고 있던 상황.
하르코프는 2차 대전 당시 수많은 러시아 군이 독일 나치와 싸우다 전사하며 영토를 수복한 곳.
오데사는 우크라이나의 유일한 항구로 이곳을 잃으면 우크라이나는 곡물 수출 항구를 잃게 되고 내륙 국가로 전락해 국운은 쓰러짐.
게다가 특히 오데사는 우크라이나 네오나치들이 오랜 기간 탄압해왔고, 주민들을 건물에 가두고 불태워죽였던 도시라 이미 민심은 러시아로 완전히 돌아선 곳임.
현재 러시아는 하르코프와 오데사 근처까지 진군해 있는 상태.
그런데 최근 러시아의 방심과 쿠르스크에 방어가 취약한 곳에 서방의 전자전 지원을 받은 우크라이나 기갑병과 특수병이 방어진을 뚫음.
특히 이번에 서방의 지원인 전자전 효과가 우크라이나에 매우 큰 도움이 되었음.
전자전과 통신 시설 원거리 타격을 받은 러시아는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침투 경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피해가 발생하고, 일부 마을을 점령당함.
주민들은 대피하고, 우크라이나는 몇가지 조건과 더불어 자포로제 원전을 돌려주면 자진 철수하겠다는 의사를 러시아 전달하고 러시아가 이를 수긍하는 분위기라고 선전전을 함.
이에 러시아는 그런바 없다며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
이 글 맨위 영상은 우크라이나 자료로 침투, 점령지가 과장되어 있지만 침입한 경로가 보이는 장면이고, 러시아가 하르코프 코앞까지 다다른 것이 보임.
아무튼 우크라이나군의 러시아 점령지인 쿠르스크 진격은 러시아의 하르코프 입성을 다소 지연시키는데는 성공함.
그러나 협상 불가론을 외친 러시아는 현재 활공 고폭탄과 더불어 반격 군을 투입해서 침투한 우크라이나군을 제거하는 중. (이 뉴스는 국내에 보도가 안되고 있음.)
러시아군은 한번 잃은 지역은 포위 작전을 한 후 그곳에 집중 포화를 하는 전술을 자주 쓰는데, 이번에도 그런 작전으로 가고 있음.
현재 러시아 군이 쿠르스크 지역에 침투한 우크라이나 군을 포위하면서 우크라이나 군 제거 작업에 들어가 이제는 우크라이나 군의 전사자와 포로들이 늘고 있고, 쿠르스크에 지원 오는 우크라이나 기갑 전력과 보급 전력들이 제거되고 있음. (이것도 국내에 보도 되고 있지 않음)
쿠르스크 외곽에 러시아군에 의해 제압, 사살되는 우크라이나군, 기갑 전력, 보급 전력들의 사진과 영상들은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는중.
러시아가 쿠르스크 지역을 재정리가 끝나면 북쪽 전선은 러시아가 원했던 하르코프 대도시의 대전투가 기다리고 있고, 현재 남부 전선의 오데사 길목인 헤르손에서도 러시아 군의 계속된 진군이 있음.
이에 젤렌스키는 원거리 타격 미사일을 더 지원해달라고 애타게 요청하는 중임.
이상 현재까지 러우전쟁 상황입니다.
관련자료
-
서명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
첨부등록일 2024.08.13 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