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파견은 아무래도 굥정부의 날조인 것 같은 느낌
컨텐츠 정보
- 584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북한군 파견에 관한 프랑스, 미국, 러시아의 반응.
■ 프랑스 반응:
“북한군을 우크라이나에 파견하면 전쟁은 새로운 차원과 새로운 규모의 확대로 이어질 것입니다.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은 "전쟁이 아시아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 파견하면...즉, 파견했다는 확정문이 아닌 if 조건문으로 문장 전개.
■ 미국 반응:
한국 정부는 이미 약 1,500명의 군인이 북한에서 러시아로 수송되었다고 주장합니다. - Korea Times
▪️그들은 러시아 소속 상륙함 4척과 호위함 3척을 이용해 수송되었습니다. 이 군대는 청진, 함흥, 무수단 지역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되었습니다.
▪️한국 국가정보원은 곧 2단계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녀의 데이터에 따르면 총 12,000명의 북한 군인을 러시아로 파견할 계획이다.
▪️러시아에 주둔하는 북한군은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 하바롭스크, 블라고베셴스크 등 극동 지역 여러 곳에 주둔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그곳에서 러시아 군부대에 통합되었고 러시아 군복과 무기를 받았습니다.
▪️위성사진에는 북한 나진항을 떠나는 러시아 군함의 모습이 담겨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가 무엇을 수송하고 있는지, 군인인지 무기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 미국도 아직까지 우리 정부의 발언에 확실한 정보로 아직까지 받아 주지 않고 한국 정부가 이런다고 말하는 수준.
북한이 참전했다면 그것도 세계 최강의 정보 자산을 지닌 미국이 모를 리가 없죠.
이런 미국이 우리나라 정보만 아직까지 인용하는 수준입니다.
■ 러시아 반응:
실제로 북한군이 특수 군사작전을 벌일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러시아 군대로부터 배울 것이 많기 때문에 기껏해야 훈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동맹국들 사이에 전개된 지역의 긴장된 상황을 고려할 때 특히 관련이 있습니다.
- 이걸 보면 러시아에 일부 병력은 온 것 같은데, 제 추측은 중앙아시아쪽 아시아계 러시아군과 훈련, 전투 경험 전수 정도 훈련이 아닐까 심히 의심중입니다.
러시아에서도 북한이 실전 경험이 있냐? 이런 식의 전장에 대한 강한 영향을 줄 부대로는 보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 아무래도 정규군 파견은 아닌듯 싶고, 굥 정부와 국정원이 뭔가 꾸미는 게 아닌듯 강한 의심이 듭니다.
특히 거니 때문에 들끓는 국내 여론 돌리기? 전쟁 분위기 조성하기?
일단은 나라는 망가져도 지 마누라는 살리고 싶고, 탄핵 여론도 잠재우고 싶은 굥 아니겠습니까?
우리나라 정부와 언론 말고 서방에서 그들 입으로 북한군이 참전했다는 확언 기사 있으면 링크 부탁드립니다.
이미 용병 형태로 나간 북한군 말구요, 이번의 정규군 참전 말입니다.
관련자료
-
서명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