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부동산
컨텐츠 정보
- 48 조회
- 11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
청년들 전세 사기에 털리고 전세 피해서 월세를 선호하는데 이제는
외국계 기업형 임대사업자에게 털릴 예정이고 동네북이구먼
리츠는 세제혜택도 주던데.
관련자료
-
서명
댓글 11
잠수함님의 댓글
어떤 똥멍청이
부동산 업자 나 투기 한 놈이
사람들 현혹 시킬려고 헛소리를 써놨네요
선진국 그러니 미국이나 (미국 잡지 인용일테니 리더스 다이제스트)
저런 나라들 오랜 역사인 경제인 만큼 부동산 관련
급격하게 변한 적 자체가 없어요...
정말 막말로
한국 부동산이 다 월세로 변한다고 칩시다
그러면 지금 전세 끼고 투기한 놈들
전세 자금 다 반환해야 하는데...
가능한가요?
그리고 저런 똥멍청이들 주장대로
월세가 집가격 대비 형성이 되려면...
지금 집 가격이 유지가 되야 하는데...
전세금 반환 하고
자기 돈으로 유지할 인간들이 몇이나 된다고 보나요?
주택가 마구 떨어진 다음
거기에 맞게 월세 형성되야 하는 겁니다
지금 누가 겁먹고 있는지는
저런 글 써대는 인간들 많아지는 거 보면 답이 나올 겁니다
부동산 업자 나 투기 한 놈이
사람들 현혹 시킬려고 헛소리를 써놨네요
선진국 그러니 미국이나 (미국 잡지 인용일테니 리더스 다이제스트)
저런 나라들 오랜 역사인 경제인 만큼 부동산 관련
급격하게 변한 적 자체가 없어요...
정말 막말로
한국 부동산이 다 월세로 변한다고 칩시다
그러면 지금 전세 끼고 투기한 놈들
전세 자금 다 반환해야 하는데...
가능한가요?
그리고 저런 똥멍청이들 주장대로
월세가 집가격 대비 형성이 되려면...
지금 집 가격이 유지가 되야 하는데...
전세금 반환 하고
자기 돈으로 유지할 인간들이 몇이나 된다고 보나요?
주택가 마구 떨어진 다음
거기에 맞게 월세 형성되야 하는 겁니다
지금 누가 겁먹고 있는지는
저런 글 써대는 인간들 많아지는 거 보면 답이 나올 겁니다
주기율님의 댓글
유럽, 미국 Senior citizen들의 크루스 여행은 연금+저금한 돈으로 다녔죠.
젊은이 월세 받아 다닌 건 아니죠.
그러나 하인즈(Hines)2.5조원 투자 중이고 앞으로 2030년까지 5조원 규모로 투자금을 높이겠다,는군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5.8조원 투자중며, 2027년까지 연간 10~15조 규모의 투자를 목표 한다는 군요.
퍼 온 글의 글쓴이가 말한 주택이 아니라 상업용 건축물이 주요 대상이고, "데이터센터,물류센터,오피스텔,저온물류센터"같은 물건을 주로 거래 하고 잇습니다.
에) 2025년 상반기 거래 목록 :판교 테크원 타워(2조원), 강남N타워(8천억원대), 크레센도 빌딩(4,5천억원)등
젊은이 월세 받아 다닌 건 아니죠.
그러나 하인즈(Hines)2.5조원 투자 중이고 앞으로 2030년까지 5조원 규모로 투자금을 높이겠다,는군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5.8조원 투자중며, 2027년까지 연간 10~15조 규모의 투자를 목표 한다는 군요.
퍼 온 글의 글쓴이가 말한 주택이 아니라 상업용 건축물이 주요 대상이고, "데이터센터,물류센터,오피스텔,저온물류센터"같은 물건을 주로 거래 하고 잇습니다.
에) 2025년 상반기 거래 목록 :판교 테크원 타워(2조원), 강남N타워(8천억원대), 크레센도 빌딩(4,5천억원)등
Banff님의 댓글
미국은 텍사스를 빼고는 대부분 시가의 1%를 매년 보유세로 내야해요. 텍사스는 대략 3%. 10억짜리 집이면 매년 천만원 보유세 텍사스는 3천만원 매년 내야하고.
8년전 트럼프세법 바뀌면서 주 소득세+주택보유세등의 합이 만불까지만 공제. 올해부턴 4만불까지 늘긴했는데 기본공제가 3만불이 넘기때문에 세액공제 효과 사실 없어요.
그리고 집팔때 부동산 복비가 매매가의 6%이기 때문에. 그러니까 10억짜리 집팔면 6천민원을 부동산업자에게. 그래서 주택거래 늘기 쉽지않고 집가격이 코로나때 인플레 터졌을때 말고는 그냥 늘 그대로에요. 올해는 주택가 떨어지는중. 전세제도 자체가 없어서 갭투기 그런것도 없어요.
8년전 트럼프세법 바뀌면서 주 소득세+주택보유세등의 합이 만불까지만 공제. 올해부턴 4만불까지 늘긴했는데 기본공제가 3만불이 넘기때문에 세액공제 효과 사실 없어요.
그리고 집팔때 부동산 복비가 매매가의 6%이기 때문에. 그러니까 10억짜리 집팔면 6천민원을 부동산업자에게. 그래서 주택거래 늘기 쉽지않고 집가격이 코로나때 인플레 터졌을때 말고는 그냥 늘 그대로에요. 올해는 주택가 떨어지는중. 전세제도 자체가 없어서 갭투기 그런것도 없어요.
미우님의 댓글
보유세는 지금도 내는데 올리는 걸 ㅄ같이 입법하니깐 저런 헛소리가 나오는 거죠.
공시지가 현실화 한다고 이전에도 설레발 쳤지만, 그냥 매년 감정평가 새로해서 평가액의 90%로 세금 제대로 때리면 인상 효과 자동으로 나옴
감정할 때 실거래가 외에 중개 회사들에 올라있는 호가도 반영 해버리고, 그러면 없는 새끼들이 지들끼리 짜고 호가 올리는 짓도 무서워서 자동으로 못하게 되고
반프님 말씀처럼, 전세를 입법으로 없애고, 융자에 보증금으로 투기 하는 거 막을 수 있게 월세 안정장치로의 보증금은 임대인이 아닌 주택공사에 넣도록 해서
빚내서 하는 투기 자체를 막아버리면 되고
누누이 얘기하지만 공공 주택공급이라는 개짓거리를 안하면 됩니다. 선분양 막는 건 당연, 상가 권리금도 법적으로 금지, 자재나 인테리어는 별도로 양도하든가
온통 대출 규제인데 그걸로는 언제나 그렇듯 한계가 금새 옴
공시지가 현실화 한다고 이전에도 설레발 쳤지만, 그냥 매년 감정평가 새로해서 평가액의 90%로 세금 제대로 때리면 인상 효과 자동으로 나옴
감정할 때 실거래가 외에 중개 회사들에 올라있는 호가도 반영 해버리고, 그러면 없는 새끼들이 지들끼리 짜고 호가 올리는 짓도 무서워서 자동으로 못하게 되고
반프님 말씀처럼, 전세를 입법으로 없애고, 융자에 보증금으로 투기 하는 거 막을 수 있게 월세 안정장치로의 보증금은 임대인이 아닌 주택공사에 넣도록 해서
빚내서 하는 투기 자체를 막아버리면 되고
누누이 얘기하지만 공공 주택공급이라는 개짓거리를 안하면 됩니다. 선분양 막는 건 당연, 상가 권리금도 법적으로 금지, 자재나 인테리어는 별도로 양도하든가
온통 대출 규제인데 그걸로는 언제나 그렇듯 한계가 금새 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