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컴 질문 좀...

컨텐츠 정보

본문


컴이 한성컴 조립품을 구매했었는데


이게 들어간 보드가

oem 기가바이트 보드 인데


대만놈들이 돈독이 올랐는지


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막아놨어요


그러니 구매 시 바이오스 그대로만 가능한...



이걸 업데이트 하는 방법이 있다는데



https://quasarzone.com/bbs/qb_free/views/8783681



설명 해준 방법을 당췌 몰라서요











검색 좀 해보니


이런 말 같은데



tpm off_efi 환경으로 부팅

하고서 어쩌고 하는 방식인...





/





관련자료

  • 서명
    물속에서 꼬르륵 ~~~~
댓글 12

미우님의 댓글

tpm off efi 는 뭔 소린지 모르겠고 이 소리 저 소리 얽혀있는 거 봐선 어디서 줏어들은 거 이해는 못하고 대충 해본 적은 있는가 싶은데
바이오스 항목에 tpm 사용 유무 선택이 있을 수 있는데 이건 통상적으로 바이오스 업데이트랑 별 상관은 없을 것 같고

DOS 소리는 무시하셔야하고(DOS가 뭔지도 모르는 듯)

BIOS 부팅 메뉴 항목에(부팅 순서 설정 하는, hdd나 ssd 이름, USB, Network...) efi shell 이 있을 겁니다.
이것도 저것도 못하게 막아놓은 oem 보드라 없을 수도 있는데 없으면 좀 복잡해지고요.

있던 없던 과정은 똑같은데
없으면 EFI 부팅 USB(이걸 DOS라고)를 만들어야 합니다.
(대충 부트섹터에 EFI 부팅 루틴 들어가고 Windows CD에 보면 boot라는 폴더 아래에 efi 라는 폴더 있고 그 아래 efi 명령 처리기 파일 들어있고
그런 내용으로 만들어지는데 만들어주는 툴도 있고, 수동으로 만드는 방법도 찾아보면 나옵니다)
부팅 메뉴에 EFI Shell 항목이 없어 만들어 써야하는 경우는 부팅을 당연히 USB로 할 거니까 USB로 선택을 해야겠죠.

EFI Shell 부팅은 부팅 순서에 나오는 걸 선택하면 다음 부팅에 EFI Shell 이라는 명령 프롬프트가 뜨는 거고요.
그거 말고 보통은 부팅 순서 메뉴 아래 어딘가에 BIOS 상에서 바로 EFI Shell 로 들어가는 메뉴도 있습니다.

EFI는 익스텐디는 펌웨어 인터페이스인가, 인텔 놈들이 평생 BIOS 쓰다가 기능이 허접하니 새로운 거 만들자 해서 사실 BIOS의 다음 버전으로 만든거고요.
BIOS 업데이트 한다라고 보통 말하는데 그건 예전에 통칭 그렇게 얘기한거고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거고 지금은 BIOS대신 EFI 펌웨어를 쓰는 거죠.

저 쉘로 들어가기 전에 usb나 hdd에 펌웨어 플래싱 툴과 펌웨어 롬파일이 같이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위 스샷에서 "efiflash.efi" 혹은 "afuefix64.efi" 요 파일들이 펌웨어 플래싱 툴입니다.
두가지는 펌웨어 제조사에 따라 명령이 다른 거고, 기가바이트 보드면 보드 지원 페이지에 다운로드 어딘가에서 제공합니다. 압축된 롬파일에 동봉되어 있을 수도 있고요.
롬파일은 "B760M어쩌구저쩌구.궁시렁" 요놈이고요.

efi shell 의 명령어들은 help 치면 나올고 ms의 도스나 명령 프롬프트 비슷한 명령들도 현대에 맞게 전혀 다른 명령들도 여럿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dir 치면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을 보여주는 건 같습니다. 리눅스처럼 ls를 쳐도 동일하고요.

그냥 롬 내장 쉘로 진입했을 경우는 램드라이브이기 때문에 dir 해도 파일들이 안 나올 겁니다.
dos나 윈도우 명령프롬프트에서 C: 엔터 치면 첫번째 하드 디스크 파티션으로 이동하는 것과 비슷하게
FS0: 엔터 치면 시스템에 마운트된 디스크들 중 최초 디스크의 볼륨으로 현재 억세스하는 파일시스템을 변경해줍니다.
OS가 설치된 상태가 아니기에 C, D 같은 드라이브 명 대신 FS0, FS1 이런 명칭을 쓰는 겁니다.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원래 윈도우 상에서 C 드라이브에 파일을 넣어놨고 롬 내장 쉘로 진입했다면
FS0: 로 현재 볼륨 바꾸고 dir 해보면 윈도우 상의 첫번째 하드의 폴더나 파일들이 보일 거고
USB로 부팅하고 그 USB에 파일을 넣어놨다면 같은 과정으로 USB 내의 파일들이 보일 겁니다.

파일을 넣어놓은 폴더로의 이동은 "cd 폴더명"처럼 DOS나 윈도우의 명령프롬프트와 같습니다.
파일이 있는 폴더로 진입했다면
efiflash.efi(혹은 afuefix64.efi) 가 도스나 윈도우의 exe 파일 같은 실행파일이고
efiflash B760M어쩌구저쩌구.궁시렁
처럼 타이핑하고 엔터치면 펌웨어 업데이트가 되는데 중간에 추가 옵션이 필요할 수 있고
명령어가 지원하는 옵션은 그냥 롬파일명 없이 명령어만 쳐보거나 -h, -help 같은 옵션을 넣고 엔터 쳐보면 보여줄겁니다.
롬파일명이 길때는 앞부분 b760m 까지만 치고 탭 누르면 뒷부분은 자동으로 입력해줄 거고요.
(파일명 앞부분이 같은 파일이 여럿인 경우 탭 더 누르면 돌아가면서...일명 돌림빵이라고 )

암튼 위에서 NoOemId 라는 옵션은 플래싱 할 때 OEM 보드의 ID 시그너쳐를 비교하지말고 무시해라는 옵션입니다.
(AfuEFIx64의 경우 x 옵션이 롬ID 체크를 패스하라는 비슷한 옵션이고요)

주의할 사항은, OEM 보드가 원본 보드와 완전 동일한 것인지 확신이 있어야합니다.
기가바이트 같은 제조사들은 같은 명칭의 같은 보드에 리비전이 여럿인 경우가 있고
타사와 다르게 리비전마다 회로랑 펌웨어가 다른 경우가 많기에...
혹시나 잘못 알고 다른 버전을 씌웠다가 낭패를 볼 가능성도 있을 것 같아서 첨언.
잘못 되면 부팅 안되고 먹통이 될 수도 있으니 조심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런 OEM 보드는 보통 한곳만 유통하지 않으니(사실 기가바이트 지들이 만드는 것도 아님 대부분 하청업체 꺼)
한성이란 곳에 제공했는데 그놈들이 신경을 안쓰는 것이지
원 보드명에 OEM 을 추가해서 해외웹을 검색하면 정식 OEM 롬을 찾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잠수함님의 댓글의 댓글

제가 한성 제조사 문의해보니
제조사에서 막아놨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다른 제조사는 안 그런데
기가바이트만 그렇다고

ㅜㅜ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bios 메뉴에 들어가서 부팅 순서 바꾸지 않고도 부팅 미디어 선택 하는 기능이 다들 있는데(BBS라고 부름 보통)
기가바이트는 f12 키라네요
bios 들어가려고 del 키 누르는 대신 그 타이밍에 f12 누르면 나옵니다.
거기에 built in EFI Shell 이라는 메뉴가 있다면 그걸로 들어가도 되고, USB를 만들고 꽂았을 경우 거기서 USB 선택해도 됩니다.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레딧에 보니 그냥 기가바이트 고객센터(당연히 국내 것들 아니겠죠)에 문의했더니 정상 OEM 롬파일 보내줬다는 내용도 있네유

잠수함님의 댓글의 댓글

한성컴 제조사가 중소 제조사라서
따로 주문제작된 보드 아니구요

그냥 시중 유통되는 보드입니다

실제 컴 구매하고나서

보드와 이것 저것 들어있던 시중 유통 동일 박스도 받았구요

그냥 소프트웨어적으로 다르게 보드 네임과 시리얼을 다르게 해놔서 안된다는 거 같은...

원도우 11 보안 부팅을 해제하고 하면 된다는 식으로 제가 이해했는데

이후 내용이 뭔 말인지 몰라서 그래요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주문제작이란 소리가 아니라
염가 OEM 보드는 한곳에만 팔아먹는 용도가 아니란 소립니다.
같은 보드를 한성이란 데만 팔아먹은 게 아니라 전세계 여러 곳에 요청 들어온 곳마다 팔아먹는 구조고
그런 보드는 자기들 이름으로 팔지만 제조도 자기들이 하는 게 아니라 대만에 OEM 전문 메이커들에게서 만들어오고요.

역적모의님의 댓글

일반적으로 보드명 + manual 로 검색하면 pdf로 된 메뉴얼을 검색할 수 있는데, 거기에 나온 대로 하는 게 정답이긴 합니다.

너무 오래된 거 아니면 대부분 usb에 업데이트 파일 하나만 집어넣고 바이오스 화면으로 들어가서 설치하면 되는데... 유튜브에 영상으로 있으면 참고 할 수도 있습니다.

기가바이트면 대부분 듀얼 바이오스를 지원해서 뻑나도 회생가능한 확률이 좀 있긴하지만 그것도 할 줄 아는 사람에 한정된 것이고...

정말로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하고 싶으시다면, 하드 드라이브랑 기타 드라이브 죄다 선 빼놓고 usb에 업데이트 파일 하나만 달랑 집어넣고 부팅해서 바이오스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시는 게 제일 수월할 겁니다.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이 윈도우에서 유틸을 사용해서 하는 방법이 있긴 하는데 뻑날 확률이 높아서 절대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보안 부팅은 바이오스 화면 security 항목이나 boot 쪽에 보면 여러 가지 있긴 하는데, 거기서 찾아보시면 있을 겁니다.

참고로 메인보드에 보면 제조된 메인보드명도 있을 겁니다. 보드 자체에 각인되어 있거나 스티커로 붙어있어요.

제가 바이오스 업데이트 할 때마다 번개가 쳐서 정전되는 바람에 메인보드 두 개 해먹어본 입장으로써 느낀 점은... 바이오스가 신제품을 인식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서는 구지 업데이트 하지 않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다

역적모의님의 댓글

성공한 사람이 있다고 하니 업데이트는 가능한 걸로 보이고, 제조사에서 내놓은 파일만 정확하게 받아서 하면 가능할 것 같네요.

그런데... 정전에 조심하세요

잠수함님의 댓글의 댓글

일단 지켜보다
공부 좀 더 해보고
할지 말지 선택하려구요

용어가 안 익숙해서 전혀 감이 안왔는데

계속 읽으니 어느 정도 이해 감은 왔어요
수다 7,582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수다 7,582 / 1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