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로마권 문화인 영어(외국어) 한국어로 번역하다 보니 좀 생뚱맞게 된 republic
컨텐츠 정보
- 257 조회
- 7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republic 를 차라리 어원이나
무슨 뜻인지 찾으면 쉽게 이해가 되는데
이걸 동양권 언어권에서
공화 공화정 혹은 공화국 이라고 번역하다 보니...
한자 공화 같은 경우는 오히려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된다는 쉬운 한자이다 보니
더 오해간다는 거...
공화 다른 뜻인 무슨 조화롭게 어쩌고 인
원어 뜻은 아닌 겁니다
민주정 그러니 일반인이 참정권 갖고 투표 하는 나라 주인인 국가를 공화국 공화정 이라고 합니다
군주정 반대말인 거죠
그런데
아주 흔하게 오해를 합니다
한국어 공화 라는 뜻에서...
다른 거에요
제가 전에 여기 글 쓴 거 같은데
한림원 이라는 것도
영어 academic 어쩌고를 번역하다 보니 저리 된 건데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는 거
ㅋㅋㅋㅋㅋㅋㅋ
번역 어려움 인가요?
아니면
한국이나 동양권 문화는 전혀 다른 문화권을 형성했고
그 뿌리가 깊다 보니 생겨난 오해 인가요?
@@
관련자료
-
서명물속에서 꼬르륵 ~~~~
댓글 7
잠수함님의 댓글의 댓글
동양권 지식인들이 엄청나게 고민해서 번역해 놓은 것 일텐데...
제가 평가 하긴 좀 그렇고
리퍼블릭 민주정이 공화 라는 단어 뜻도 당연히 어느 정도는 있긴 합니다
공화 단어와 공화정이 전혀 다른 단어라는 것을 이해 잘 못하는 사람들이 오해하는 거죠
그리고 저 생각은 그냥 문명권이 전혀 다르다 보니 생겨나는 현상 아닐까 합니다
1 대 1 로 단어가 바로 전환 되는 예는 로마어 계통들은 비슷한 알파벳 계통이기에 바로 전환 번역이 된다는데
문명 자체가 과거 달랐으니 이걸 그냥 외래어로 원어 그대로 하기도 좀 이상하기도 하고
한자 조합으로 단어 생성하는 게 그리 나쁜 거 같지도 않고
거기에[
한자라는 문자 자체가 알파벳이나 한글 처럼 표음 문자 처럼 쓰기도 힘들다는
표의 문자가 기원이기에 생긴 일 이기도 한 거 같구요
결론은 저도 잘 모른다는 겁니다
마치 단어를 잘 쓰고 하기엔 처음 듣고 찾아보거나 알아보거나 해야 하는데
그걸 안 한 사람들이
자기 조금 아는 지식에 상상 나래를 펼쳐서 생긴 일 이라는 거죠 뭐
ㅎㅎ
한자 조합으로 확장성은 로마어 계통 보다 훨 낫지 않나요?
쟤들도 단어 어휘 공부하다 보면 보캐뷸러리 라고
알파벳 애초 어원이나 어근을 잘라서 공부하던데
물론 외국인도 영어 공부하다 그러죠?
저도 보캐 몇 만 단어 공부하다 그래본 기억 나는...
그냥 제 결론
공부 안 하고 나름 유추해서 단어 떠올려서 그런 거 같아요
ㅋㅋ
이런 걸로 학자들 연구 논문도 쓸 수 있을 거 같긴 합니다
제가 평가 하긴 좀 그렇고
리퍼블릭 민주정이 공화 라는 단어 뜻도 당연히 어느 정도는 있긴 합니다
공화 단어와 공화정이 전혀 다른 단어라는 것을 이해 잘 못하는 사람들이 오해하는 거죠
그리고 저 생각은 그냥 문명권이 전혀 다르다 보니 생겨나는 현상 아닐까 합니다
1 대 1 로 단어가 바로 전환 되는 예는 로마어 계통들은 비슷한 알파벳 계통이기에 바로 전환 번역이 된다는데
문명 자체가 과거 달랐으니 이걸 그냥 외래어로 원어 그대로 하기도 좀 이상하기도 하고
한자 조합으로 단어 생성하는 게 그리 나쁜 거 같지도 않고
거기에[
한자라는 문자 자체가 알파벳이나 한글 처럼 표음 문자 처럼 쓰기도 힘들다는
표의 문자가 기원이기에 생긴 일 이기도 한 거 같구요
결론은 저도 잘 모른다는 겁니다
마치 단어를 잘 쓰고 하기엔 처음 듣고 찾아보거나 알아보거나 해야 하는데
그걸 안 한 사람들이
자기 조금 아는 지식에 상상 나래를 펼쳐서 생긴 일 이라는 거죠 뭐
ㅎㅎ
한자 조합으로 확장성은 로마어 계통 보다 훨 낫지 않나요?
쟤들도 단어 어휘 공부하다 보면 보캐뷸러리 라고
알파벳 애초 어원이나 어근을 잘라서 공부하던데
물론 외국인도 영어 공부하다 그러죠?
저도 보캐 몇 만 단어 공부하다 그래본 기억 나는...
그냥 제 결론
공부 안 하고 나름 유추해서 단어 떠올려서 그런 거 같아요
ㅋㅋ
이런 걸로 학자들 연구 논문도 쓸 수 있을 거 같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