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분류
한국어의 기원
컨텐츠 정보
- 1,356 조회
- 4 댓글
- 3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두 달 전에 나온 기사지만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 정리 해 둡니다.
기사를 요약하면,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이 약 9,000년전 요하 농업지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 일본, 아무르강, 시베리아, 중앙아시아를 거쳐 터키까지 확산되었다는 내용입니다. 그동안 우리말은 고립어1)로 알려져 있었는데 사실은 친척 언어가 많다는 얘기이고, 그 시작은 고조선 이전으로 올라가서 찾아야 한다는 연구입니다.
신용하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9천년전 요하지역은 상대적으로 따뜻한 한반도에서 최후의 빙기(5.3~1.3만년전)를 보내고 이동한 맥족의 영역입니다. 맥족이 5천년전에 다시 동남쪽으로 이동하여 한,예족과 결합, 고조선을 건국했다고 봤으니, 위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만, 신용하설 중 맥족이 9천년 이전에 한반도에서 요하지역으로 이동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입니다.
참고하세요.
1) 고립어 : 동음이의어. 여기서는 두번째 뜻.
- 언어유형학상 고립어 : 단어의 위치로 문법적 기능이 구현되는 언어.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영어 등. (e.g. 교착어, 굴절어, 포합어)
- 비교언어학상 고립어 : 언어의 계통이 밝혀져 있지 않은 언어. 한국어, 아이누어, 이베리아어, 바스크어, 니브흐어 등
* 추가로 만주어의 느낌이 우리말과 얼마나 비슷한지 보시라고 동영상 공유합니다.
관련자료
-
링크
댓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