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조선의 중심지 이동과 유물
컨텐츠 정보
- 1,671 조회
- 25 댓글
- 2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그동안 공부하고 정리한 걸 바탕으로 삼국유사에 기반한 단군조선의 역사에 대한 가설(뇌피셜...)을 세워봤습니다.
1. ≪위서(魏書)≫에 이르기를, “지금으로부터 2천여 년 전에 단군왕검(壇君王儉)이 있어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였다. 나라를 개창하여 조선(朝鮮)이라 했으니 고[高-요임금-]와 같은 시대이다.”
2. ≪고기(古記)≫에 이르기를, “옛날에 환인(桓因) 제석(帝釋)을 말한다.의 서자(庶子)인 환웅(桓雄)이 천하(天下)에 자주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보니 인간(人間)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한지라,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며 가서 다스리게 하였다. 웅(雄)이 무리 삼천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정상 신단수 밑에 내려와 신시(神市)라 하고 이에 환웅천왕(桓雄天王)이라 하였다.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穀)·명(命)·병(病)·형(刑)·선악(善惡) 등 무릇 인간의 삼백육십여 가지의 일을 주관하며 세상을 다스리고 교화하였다. ... [웅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니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당(唐)의 고(高)임금이 즉위한 지 50년인 경인(庚寅)으로, 평양성(平壤城)에 도읍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하였다. 또 도읍을 백악산아사달에 옮겼는데, 궁(弓)홀산(忽山)이라고도 하며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고도 한다. 그 후 1,500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다. 주(周)의 호왕(虎王-武王)이 즉위한 기묘(己卯)에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니 단군은 곧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겼다가 뒤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 산신(山神)이 되었으니 수(壽)가 1,908세다."라고 하였다.
3. 당의 ≪배구전(裵矩傳)≫에 이르기를 “고려(高麗)는 본시 고죽국(孤竹國)인데 주(周)가 기자(箕子)를 봉하고 조선이라 하였다. 한(漢)이 3군(郡)으로 나누었으니, 현토(玄菟)·낙랑(樂浪)·대방(帶方) 북대방(北帶方)이다.”라고 하였으며, ≪통전(通典)≫에도 역시 이 설명과 같다.
삼국유사에는 총 4건의 고조선 관련 기사가 실려있습니다. 위의 1,2번은 단군조선에 관한 기사이고, 3번은 앞 문장은 준왕조선과 뒷 문장은 위만조선에 관한 기사이며, 4번째는 여기에 옮기지는 않았지만 《한서》의 위만조선 관련 기사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단군조선에 대해서만 분석하고자 하니 1,2번 기사만 대상으로 하겠습니다.
1번 기사는 단순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약 2천년전에 단군왕검이 나라를 열고, 국명은 조선, 도읍은 아사달로 정했다." 다만, 여기서 2천년전의 기준이 되는 시점이 언제인지가 모호한데, 이 기사를 가져온 《위서》라는 책의 정체와 책이 쓰여진 시점 불명확합니다. 따라서 이 기사는 무시하고, 더 자세한 내용을 가진 2번 기사를 중심으로 보겠습니다.
1) 신시
- 한민족 최초의 국가, 왕은 환웅, 위치는 태백산 부근, 건국시기 불명,
- 수도는 별도로 없음. 도시국가로 추정.
- 국가 운영 철학: 홍익인간, 재세이화
2) 조선
- 한민족 2번째 국가, 왕은 단군, 강역은 불명
- 건국시기는 기원전 2350~기원전2300년경
- 수도는 평양성 -> 백악산아사달 -> 장당경 (4번째 천도지인 아사달은 2번 백악산아사달과 동일한 장소로 보이며 국가 멸망 또는 흡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됨)
- 지속기간 1,908년 (백악산아사달에서 1,500년 존속)
신시는 아무래도 신화적인 요소로 가득차 있고 단군이 환웅의 장자인데 따로 개국을 하는 것도 우리 역사상 전례 없는 일이니, 상징적인 기사로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남은 건 단군조선이고, 3개의 수도와 1,908년의 존립 기간만이 의미 있는 사실로 보입니다.
수도의 위치는 나중에 보기로 하고, 먼저 어느 시기에 왜 천도 했을까만 살펴보겠습니다. 기원전 2,300년~기원전 400년 사이에는 인류사상 2가지의 큰 변화이 있습니다. 첫째는 청동기의 등장, 두번째는 철기의 등장입니다. 저는 조선의 2번의 천도가 이와 연관이 있을거라고 봅니다.
먼저 조선 최초의 천도(평양성 -> 백악산아사달)는 청동기의 등장과 함께인데, 기원전 2,300년경 건국 후 약 300년이 지난 기원전 2,000년경에 천도하고 청동기 문화를 꽃피웠다고 생각합니다. 그 후 1,500년이 지난 기원전 500년경은 초기 철기의 등장과 함께 비파형동검이 후기형으로 변화하는 시기이니 2번째 천도 (백악산아사달 -> 장당경)의 이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첫번째 천도는 단군조선이 주도적으로 진행한 사건일 가능성이 크고, 두번째 천도는 외부의 충격 (철기의 도래)에 의해 진행됐을 가능성이 크니, 이때 조선이 나뉘어 열국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후한서》에서 언급한 '기자의 후손이 자칭 왕을 칭했다'는 시점이 이때(기원전 500년경)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정리하면 단군조선은 B.C.2300년경 건국하여 평양성에 도읍하였고, 300년 후 청동기 문화의 시작과 함께 나라가 커져서 백악산아사달로 천도 후 1500년을 지내다가, 철기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존 수도는 기자와 관련된 신흥세력에게 내어주고 장당경으로 천도, 100년 후인 B.C.400년경에 멸망 또는 흡수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기자와 관련되고 기원전 500년경에 등장하여 단군조선을 흡수 할 수 있는 신규세력이라면 '준왕조선'밖에 떠오르지 않고, 준왕조선의 중심지는 요양시이니 단군조선의 백악산아사달도 요양으로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장당경은 아마도 기존 수도의 동쪽이 아니었을까 생각하는데, 신규 세력이 서쪽에서 온 듯 하고, 후대에 요양의 동쪽에 진국이 존재했기 때문에 그렇게 추정합니다.
이를 지난번에 올린 고고학 자료와 함께 맞춰보면, 백악산아사달은 요양시 인근(마성자 I,II,III기, 이도하자형의 유물)이 되겠고, 장당경은 길림성의 통화시/백산시 인근이(토성리 다음 세대 유물)이 아닐까 합니다. 최초의 수도인 평양성은 신석기 문화를 살펴본 후에나 추정이 가능할 듯 합니다.
마찬가지로 준왕조선은 정가와자+세형동검을 지표유물로 보면 될 듯 합니다.
사족
- 이 가설에 따르면 요양은 B.C.2000~B.C.108, A.D.427~586, 총 2,060년 동안 민족의 수도였음. 사방 100km를 샅샅이 발굴해야 할텐데...
- 제가 추정한 고조선 수도 위치가 윤내현 교수님 의견과는 다릅니다. 이해 해 주시길...
- 추정으로 가득한 가설이니 재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
관련자료
울티마툴레님의 댓글
삼국유사에서 주나라가 기자를 조선에 봉하자 단군이 도읍을 옮겼다고 합니다. 이를 저는 이렇게 추론합니다.
1. 단군조선은 최초에 심양에서 개국해서 계속해서 요서와 하북지방으로 진출시도함
2. 상나라시절 단군조선은 하북성지역까지 진출. 그래서 도읍을 지금의 난하유역으로 천도했다.
3. 주나라 성립후 주나라세력이 중국동해지역으로 세력을 넓히자 세력권을 요서지역으로 축소하고 대릉하와 요하사이로 천도. 여기가 왕검성임.
4. 철기의 보급으로 천산산맥인근의 동서로 벌목과 개간이 이뤄지자 중국세력이 점점 난하유역에.도달하자 중국세력과 치열한 경쟁을 벌임.
5. 단군조선은 누층적 읍제 봉건국가였는데 철기의 보금으로 내부혼란이 야기되어 쇠락해지자 다시 심양으로 천도하고 그 틈을 타 준왕이 자립을 선포함.
6. 위만이 준왕을 타도하고 위만국을 수립하고 요서전체를 공략하자 단군조선은 붕괴하고 각지에서 철기로 무장한 거수국들이 독립함.
7. 위만국이 한왕조에게 타도당하자 토착세력들이 한에 포섭되어 한군현이 성립함.
8. 단군조선은 마치 전국시대 주왕조처럼 유명무실해젔지만 명맥은 유지함. 하지만 독립한 거수국중 북부여에게 종주국자리를 내줌.
9. 그러다 대무신왕이 낙랑국을 멸할때 같이 사라짐.
울티마툴레님의 댓글의 댓글
제말은 한왕조나 위만이 단군조선이 아사달이라 부른 곳을 한어화하여 조선현으로 불렀다고 추측댑니다. 즉 낙랑국은 조선과 아무런 관계가 없고 오로지 조선현과만 관계성있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진수의 금조선이란 표현은 지금의 조선과 고구려가 맞다아있다란 의미로 해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