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 사회발전단계론
컨텐츠 정보
- 1,162 조회
- 3 댓글
- 2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올초에 사회발전단계론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어 여러가지 자료를 본 적이 있습니다. 엘만 서비스 등 서양학자들의 책과 자료였는데, 제가 뭔가를 정리해서 이해하기는 난해하더군요. 그래서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 최근에 좋은 논문을 발견해서 소개 드립니다.
천선행.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 시론." 한국청동기학보 26.- (2020): 4-31.
이 논문에서는 위 학자들의 견해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한국 고고학계에서 어떤 식으로 적용하고 있는지를 정리해 놨는데, 저 같은 초보자에게 도움이 많이되어서 소개 드립니다.

일반인들이 흔히 알고 있는 엘만 서비스의 [무리-부족사회-수장사회-국가] 모델은 좀 오래된 모델이어서 학계에서는 사용을 않는 추세이고, 최근에는 모튼 프리드의 [평등사회-위계사회-계층사회-국가] 모델과 콜린 렌프류-폴 반의 [이동성 수렵채집단-분절사회-군장사회-국가]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 표는 신석기시대의 사회 성격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견해입니다. 대부분의 연구가 신석기시대 사회를 사회분화가 엿보이거나 복합수렵채집사회로 바라봅니다. 다만, 복합화의 기준으로 이야기되는 수직적 위계 또는 사회적 불평등의 제도화 등 에 대한 평가는 연구자간 이견이 있습니다.

위 표는 청동기시대에 대한 연구자들의 견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한반도 중남부 신석기시대의 후-말기는 평등사회이자 소규모 분절사회로, 청동기시대 조기(기원전 15~13세기)는 가족 단위와 친족 단위의 분절사회가 공존하며, 위계가 발생하였지만 제도화 되지는 못한 사회로 보고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