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이름에 대한 짧은 생각
컨텐츠 정보
- 1,312 조회
- 19 댓글
- 2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고조선'이라는 단어가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삼국유사》입니다. 일연은 왕검조선과 기자조선을 위만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함께 묶어서 고조선이라 표현 했습니다.
이후 '고조선'은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위만조선까지 묶어서 일컫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덕분에 사람들이 '삼조선'을 왕검-기자-위만조선으로 오해하기도 해서, 신채호 선생이 "삼조선은 진/막/번조선이다"라고 정정해 주셨죠. 더 나아가 이 3개의 조선을 삼조선이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채호의 삼한-삼조선과는 다른 개념)
아무튼 《삼국유사》에서도 구별을 위해 '고조선'이라는 단어를 썼을뿐, 실제 국명은 '조선'이라고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중국정사에는 당연히 '조선'으로 표기하고 있고요. 그렇다면 이 '조선'들을 어떻게 구별 할 것인가? 제 경우는 이렇게 정리 했습니다.
1. 단군조선 : 《삼국유사》에서는 일명 '왕검조선'이라 표현하지만,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단군=제사장, 왕검=임금의 일반명사로 보고 있으며, 왕검이 호칭의 성격이 더 강하다고 봅니다. 따라서 저는 단군조선 을 선호합니다.
2. 준왕조선 : 《삼국유사》에서는 '조선'이라 표현하지만, 기자와 관련된 설화 때문에 후대인들은 일반적으로 '기자조선'이라고 부르고 있죠. 저는 기자와의 연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기 때문에 마지막 왕 이름을 따서 '준왕조선'이라고 부릅니다. 최초로 왕을 칭한 사람의 이름으로 부르고 싶으나 초대 왕의 이름은 알 수가 없네요.
3. 위만조선 : 《삼국유사》에서 초대 왕의 이름을 따서 '위만조선'이라 표현하고 있고, 저도 이견이 없기에 '위만조선'으로 부릅니다.
개인적으로는 의미가 모호한 '고조선'이라는 단어보다는 '단군조선/준왕조선/위만조선'으로 나눠서 명확히 부르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관련자료
Marauder님의 댓글
주나라 왕실은 계속해서 존재했지만 전국시대를 거쳐 전국 7웅이 등장한것처럼 말이죠. 사실 국가 하나가 2천년간 지속되었다는것은 현실성이 없죠.
삼한같은 시스템으로 강한 국가가 대표자가 되고 기자가 된건 변경에있던 국가의 왕이라고 생각하면 맞는게 아닐까 싶더군요.
생각해보면 주몽만 하더라도 외지인인데 졸본부여에서 추대를 통해 왕이 되었으니 그렇게보면 설득력이 있지 않나 싶어요. 심지어 금나라 시조 역시 신라사람이 여진족 추장이 되어 그 후손이 금태조가 되었으니 말이 안되는건 아니죠.
흥무대왕님의 댓글의 댓글
다만 이 제도가 고대 조선들 2,200년(B.C.2,333~B.C.108) 기간동안 일관되게 유지 됐으리라 보지는 않고,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초기에는 자연에서 살아남는 것이 더 주된 문제였으리라 보구요... 국가별로 보면 단군조선이나 준왕조선 대비 위만조선은 영역/장악력/권위가 약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 내용도 오늘 올릴 자료에 언급해 놓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