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2050년 통일한국 인구 변화 상상

컨텐츠 정보

본문

2030~2040년에 통일되고 외부 유입 인구가 느는 상황을 모두 산정.

여러 자료를 보고 평균치로 예상하겠습니다.


대한민국 : 4,800만명

북한 : 2,700만명


남북한 합계 : 7,500만명


이주민자 37.4% 예상하지만, 러시아, 중국은 따로 잡고 불법 체류까지 포함해 대략 25% 이하로 잡겠습니다.

그리고 그 이주자 2세의 성인으로서 성장한 이후도 무시못하는 사회 저변으로 깔린다고 봅니다.

 

외국 이주민자 : 1,800만명




무비자국인 러시아는 많은 러시아인들과 고려인들이 함경도 국경을 통해 꾸준히 많은 인구수 유입될 것으로 예상.


OECD 국가이면서 무비자국인 한국과 국경을 접하게 되면 우리나라는 탈러시아의 관문이 될 가능성이 무척 높아진다고 봅니다.


이는 육로의 장점과 지구 반대편 러시아라도 비행기보다 월등히 싼 기차가 대기중이이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통일한국과 러시아와의 경협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러시아 내에서도 동쪽으로의 인구 이동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10%가 국제결혼중인데, 위 상황이면 러시아와의 커플, 특히 한국남+러시아녀 커플이 급증할 것으로 보이며 혼혈이 않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러시아 : 500만명


한반도 북단의 긴 국경으로 유입되는 중국 이주민들이 엄청날 것 같습니다.

조선족 러시와는 사뭇 비교가 되지 않을 거라는 예상이 됩니다.

또한 같은 동양인이라는 정서로 남녀 모두 중국인과의 혼인 비율도 엄청 높았는데, 통일 후 한중커플이 폭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중국 : 500만명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인구 총합계 :  1억300만명 (기존 남북한, 이민자, 


남한 지역은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었지만, 북한 및 외부 인구 유입으로 노령화 평균치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


하지만 대한민국 인구 및 거주자 중 1/4이 외국인인지라 사실상 단일 민족 정체성보다 다문화 국가로 이행되며, 우리 수다플 할배들은 많은 격세지감을 느끼며 관짝에 들어갈 준비를 할 시기일듯 싶습니다.


제 개인적인 바램은 통일이 되면 외국 이주자 인구는 10%로 낮추고, 남북한이 내실있는 인구로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만, 한번 열려버린 외국인을 받아들인 정책은 확산되면 되었지 줄어들 것 같지는 않네요.

관련자료

  • 서명
    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댓글 1
수다 7,973 / 165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수다 7,973 / 165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