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1980년대 소련, 모스크바

컨텐츠 정보

본문



여친이 공부를 좀 해서 의대를 졸업한 인텔리 여성이라 대화하다보면 재미있거나 상식적인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되는데 이런 부분은 대화가 재미있어요.


소련 시절에는 공산권의 중심이었기 때문에 소련의 복지 정책은 최고였다고 합니다.


지금도 그런 복지 정책의 흔적은 남아있어서 무상 교육, 무상 의료의 기류들이 남아지만, 재정이 약해져 질이 많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소련 시절은 풍요로움의 나날들이었다고 합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복지 정책이라 그 권위가 상당했다고 하며, 원칙론이 강했던 시리라고 합니다.


아울러 각종 제조업들도 발달했고, 국민들에게 부여되는 복지 정책들도 좋았던 시기로 장년층, 노년층들 중에는 과거 소련 시절을 그리워하는 이들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이 장년층, 노년층들이 러시아의 푸틴쪽 당을 지지하는 유권자의 콘크리트 층이죠.


여친이 또 부모님의 말을 들어보면 소련식 풍요와 낭만이 있었던 시기였다고 하네요.


듣고 보니 그 만큼 다른 공산 국가들 위성국가들로 두고 그 위에 군림했고, 그 소련이 경제권을 쥐고 있었던 시기였다보니 그랬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네요.


초등학교 다닐 때는 소련은 공산주의라 억압과 빈곤 속에 허덕인다고 듣고 자랐던 시기였는데, 여친 이야기를 듣고 신선한 느낌이 들기도 했네요.


또 여친 말에 의하면 러시아의 지금 아파트의 경우, 소련 시절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기초 공사가 잘 되어 있어 탄탄하고, 단열도 좋다고 하네요.


반면 공산주의 소련에서 자본주의 러시아가 되고 나서는 이득만 최대로 보려고 들고, 대충하려는 요령주의가 늘어나서 날림 공사가 엄청 많아졌다고 합니다.





관련자료

  • 서명
    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댓글 6

밀워키빅팬님의 댓글

또 하나 배워 갑니다. 현재는 뉴질랜드가 가장 사회주의 적인 민주주의 국가죠~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ACC라고 사고시 무료치료 및 재정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도 2년전에 사다리에서 떨어져서 4개월간 집에서 요양했는데 4개월동안 ACC 에서 생활비 받았습니다. ACC는 뉴질랜드를 관광으로 방문한 사람들에게도 공평하게 적용됩니다. ㅎㄷㄷㄷ

KingCrab님의 댓글의 댓글

저도 이제 나이가 들어가니 국가 복지는 요원하고 해서 수술비, 입원비, 치료, 각종 질병 보험을 10개 들어놓았네요.

즉, 스스로 해결하고 대비하기 위함이죠.

우리나라가 자본주의 사회주의 요소를 잘 가미하면 좋을텐데, 툭하면 빨갱이라고 치부하는 세력들이 많다보니 아직은 선진국의 복지 정책을 실행하려면 한참 멀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밀워키빅팬님의 댓글의 댓글

그래도 우리나라는 끝판왕 국민건강보험 제도가 있습니다. 이건 정말 세계 어느 나라도 흉내내기 힘든 최고의 양질 서비스 입니다.  굥의 의료 민영화를 결사 반대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ㅎㄷㄷㄷㄷㄷㄷ

KingCrab님의 댓글의 댓글

요즘 여기저기 민영화 시도가 보이는데, 국짐에서 대권 계속 잡고, 앞으로의 총선에서 국짐이 승리하면 모든 건 장담할 수 없다고 봐요.

일이등박근님의 댓글

땅 좀 봐 ㄷ ㄷ ㄷ 무서울 정도네여...
연방이라 해도 저 정도 소속국 영토를 다 관리하려면 겁나 빡셌겠는데여.
전체 1,287 / 5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1,287 / 5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