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분류

황반변성검사 - 암슬러 격자 검사

컨텐츠 정보

본문

QejCVjk.jpg

암슬러 격자 검사로 황반변성뿐 아니라 중심성망막염, 당뇨망막병증 등의 질환도 확인할 수 있으며 검사 방법도 간단해 가족들이 모두 모여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암슬러 격자와 30㎝의 거리를 두고 빛이 밝은 곳에서 한쪽 눈을 가려야 한다. 그 후 가리지 않은 눈으로 암슬러 격자의 중심에 있는 까만 점을 바라보았을 때 중심의 점이 잘 보이지 않는다거나, 선이 휘어 보인다거나, 혹은 선이 끊어져 보인다면 황반변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때는 빨리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자가검사법의 순서

1.안경착용자는 안경을 착용하며, 근거리 작업시 돋보기를 착용할 경우에는 돋보기를 착용합니다. 

2.근거리 (대개 독서거리. 33cm정도)를 유지하면서 한쪽 눈을 가리고 반대편 눈으로 암슬러 격자의 가운데에 위치한 점에 초점을 맞추고 응시합니다. 반대편 눈도 같은 방법으로 검사합니다.  

3.중심점에 초점을 맞추고 응시할 때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선이 수직/수평이어야 하며, 모든 사각형이 같아야 합니다. 만약 선이 휘어져 보이거나 선이 끊어져 보이는 등의 이상이 있을 경우 안과에 내원하여 망막 정밀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주의점

암슬러 격자검사시 중앙에 있는 검은점에 초점을 유지해야 합니다. 초점을 이용하면서 검사할 경우에는 국소 이상을 놓칠 수 있습니다. 




이상이 있을경우 사례



관련자료

댓글 3

일이등박근님의 댓글

예시에 나온 비정상 형태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아요.
저 정도로까지 일그러져 보이려면 이미 눈이 아주 맛이 간 상태일겁니다.
저처럼 망막이나 수정체 등 전체적으로 상태가 안좋고 그랬어도 집에서 저 검사해보면 별 이상없는 것처럼 느껴지더군요.
제일 좋은건 그냥 안과 가서 정기적으로 검사하는겁니다.
눈 정말 중요하니까... 신경 써서 관리 안해주면 저처럼 수술해야 합니다 ㅠㅠ
전체 769 / 1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769 / 11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