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한강, 고수부지 vs 둔치

컨텐츠 정보

본문



'고수부지(高水敷地)'는 쪽바리 한자어입니다. 


우리가 쓰는 말 가운데에는 일본에서 들어온 한자어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이들 말 가운데에는 이미 우리말 속에 녹아들어 굳이 다른 말로 바꿀 필요가 없는 말도 많이 있지만, 좋은 우리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하게 쓰이는 어렵고 생소한 일본식 한자어도 많이 있습니다. 


uxHTwaW.jpg


'고수부지'도 그 한 예입니다. 


이 말은 큰물이 날 때에만 물에 잠기는 강가의 터를 가리키는 말인데, 우리말 가운데 물가의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둔치'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둔치'가 '고수부지'를 순화한 말입니다.




그런데 한강의 경우 둔치를 잘 다듬어 그곳에서 운동도 할 수 있고 놀이도 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단순히 '둔치'라는 말만으로는 그와 같은 특성을 제대로 나타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마당'이라는 말을 덧붙여 '둔치 마당'이라고 합니다. '한강 고수부지'는 앞으로 '한강 둔치 마당' 또는 줄여서 '한강 둔치'로 바꾸어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관련자료

  • 서명
    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댓글 4

Analogue님의 댓글

꼭 한자조합의 단어 말고도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이 너무 많은 듯 싶어요.

주범은 대부분...
억지 유행어 만들어보려는...연예인, 방송인들...
수다 1,120 / 3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수다 1,120 / 3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