짱궤 딥시커 미국에 충격
컨텐츠 정보
- 113 조회
- 1 댓글
- 1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챗GPT 앞섰다"…더 싸고 성능 좋은 中 딥시크에 '충격'
중국의 AI 스타트업인 딥시크(DeepSeek)가 챗GPT보다 저렴한 그래픽처리장치(GPU)로 대형언어모델(LLM) 훈련을 마치는 등 챗GPT를 앞서는 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의 수출 규제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뉴욕타임스(NYT)는 23일(현지시간) 보도한 분석 기사에서 딥시크가 오픈AI와 구글 등 실리콘밸리의 거대 기업보다 첨단 칩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챗봇을 만들어 미국의 AI칩 수출규제의 한계를 보여줬다고 밝혔다.
딥시크가 개발한 딥시크-V3가 일부 평가에서 오픈AI와 구글의 챗봇을 넘어섰다고 NYT는 전했다.
딥시크의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로, 엔비디아의 H800 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으로 계산됐다.
이는 메타가 최신 AI 모델인 라마(Llama)3 모델에 H100으로 훈련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아울러 딥시크가 사용한 H800은 미국의 고성능 칩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가 H100의 사양을 낮춰 출시한 칩이다.
특히 딥시크가 최근 선보인 '추론(reasoning) AI' 모델인 'R1'이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해 9월 출시한 추론 AI 모델 'o1'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딥시크는 미국 수학경시대회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추론 AI 모델이 79.8%를 얻어 오픈 AI의 추론 모델의 79.2%보다 앞섰다고 밝혔다. 코딩 부문 라이브벤치 평가에선 딥시크의 AI가 65.9%의 정확도를 기록해 챗GPT(63.4%)보다 높았다.
포브스는 중국 AI 업계에서 가격 인하 경쟁이 시작됐으며 이는 세계 각국으로 확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짱궤가 엔비디아의 저가 h800칩으로 구동한 딥시커 AI가 가격대비 성능이 오픈AI보다 잘 나옴
관련자료
-
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