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펌)

컨텐츠 정보

본문

좋은 내용 같아서 펌 했습니다





요즘 저축은행 위험하다는 얘기가 많아서 금융감독원에 가서 가장 최신지표를 가져왔습니다.

건전성 지표입니다. 위험한 지표나오는 저축은행은 가능한 배제하시고 해지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ROA는 총자산대비 당기순이익 비율 입니다)

 

금감원에서 가져온 지표가 6월30일 기준이고 그사이에 변수가 있을수 있음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자본적정성을 나타내는 BIS 비율은 8%를 기준으로 이보다 높을수록 안전하다고 평가됩니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액이 여신(대출)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부실대출)은 8% 아래로 낮을수록 안전하다고 평가됩니다.

 ROA는 당연히 높을수록 좋습니다.

 

현재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아서 위험 한곳은  대아상호저축은행(28.65),  대원상호저축은행(40.48), 에스엔티저축은행(10.29). 조흥저축은행( 17.30), 입니다.

위험하지는 않지만 턱걸이하고 있는 곳은 오케이저축은행(7.7), 아산저축은행 (8.03) 삼호저축은행(7.51) 입니다.

 

순이익 적자나는곳도 배제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대아, 대원, 참저축, 

 

그리고 BIS 비율은 높을 수록 좋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마지막으로 우리는 과거 부실저축은행들이 어떠한 일을 했는지 알고 있습니다. 

BIS조작, 불법대출, 횡령 등등...

 

여기표에는 안나와 있지만.......   조심하세요 최근에 발생한 사고들입니다.

1. 페퍼 저축은행  -  횡령사고 발생,  불법작업으로 2년간 1100억원대 불법대출 정황드러남 

2. 부산저축은행 -  대장동 PF대출 불법 논쟁중

3.SBI저축은행 - 2000~ 3000억원대 규모 불법 작업대출  금감원 조사착수 




QdPlmw4.jpg

 

 

 

icon_expand_img.png




관련자료

  • 서명
    물속에서 꼬르륵 ~~~~
댓글 1
수다 8,058 / 5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수다 8,058 / 5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