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일본의 개고기 수입과 개고기 역사

컨텐츠 정보

본문



개를 식용으로 하지 않는 일본에 서 전체 육류 소비량에 비하여 아주 적은 양이지만 犬肉 을 2011년에 39톤, 2012년에 25톤, 2013년에 30 톤, 2015년에 10톤을 수입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2015 년의 견육은 전량 베트남에서 수입하였다(농림수산 성 동물검역소).


즉, 개를 도살하지 않는 일본은 베트남에서 도살된 개를 수입해서 먹는 격.


일본 열도에서는 즐문토기 시대부터 너구리뿐만 아니 라 개와 늑대, 여우 등도 식용으로 했고, 기원전 5세기경 부터 기원후 3세기경까지 약 8백 년간의 야요이시대(? 生時代)에서는 선진 학문·기술·문화를 일본에 들여와 정 치·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한 한국, 중국 사람들이 일본 에 개고기 문화를 전래하였을 것으로 생각한다(西本豊 弘).


고대에서 육식 금지령으로(675년) 소·말·개·원숭이· 닭 육식이 금지된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개를 먹던 습 관이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그 후 개를 포함한 육식 의 금지령이 있었던 것은 육식을 부정한 것으로 생각 한 불교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다(金子裕之 『古代の都 と村』).


중세에 일본에 왔던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1532-159 7)는 "유럽인은 암탉, 메추리 등을 좋아하는데, 일본인 은 들개, 두루미, 원숭이, 고양이 해조류를 좋아한 다. 


또 우리들은 개를 먹지 않지만 소는 먹는다. 일본인 은 소는 먹지 않고 약으로서 개를 잡아 먹는다(일본 유 럽문화비교)"라고 하였다.


근대에 이르러 아카시성이나 후쿠야마성, 가고시마 등 지에서 개를 잡아먹은 기록들이 있다. 


가고시마에서 는 개의 배에 쌀을 넣어 쪄서 굽는 요리법이 있었다고 한 다(위키피디아 犬食文化). 


현대의 일본에서는 중국인이 나 한국인 거주 지역에서 개고기를 파는 식당이 있으나 일본인들도 일부 먹는 사람들이 있을지라도 개를 먹 는 관습은 거의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일본의 전통악기인 샤미센을 제작할 때 안쪽에 고 양이 뱃가죽 또는 강아지 가죽을 댄다고 한다. 


이러한 동 물의 가죽을 일본에서는 구입할 수 없어서 수입에 의존 하였다. 


犬皮의 수입은 2011년 2톤, 2012년 2톤, 201 3년 1톤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수입은 보고되지 않 고 있다.


일본에서는 개를 식용으로 하는 것이 합법적일까?


도축장법은 도축장 이외에서 소, 말, 돼지, 면양 및 염소 를 도축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다. 


다른 포유동물 즉, 사 슴 같은 동물의 도축장 이외에서 도축을 하고 식용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축의 공정한 거래를 목적으 로 하는 가축상법에서 정의하는 가축은 소, 말, 돼지, 면 양, 산양이다. 


개는 축산동물이나 가축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가축 이외의 동물을 도축하는 경우가 있더라 도 動物愛護및管理에 한法律(동물애호법)에 따르 면, 동물을 '함부로' 죽이는 것이 금지되어 있어 사슴 등 을 식용 등의 목적으로 가능한 한 고통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도살한다면 문제는 없을지 몰라도 개를 식용 등 의 목적으로 죽인다면 일본인들의 정서에 맞지 않을 것 으로 해석된다.


동물애호법에서는 "동물은 생명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 여 누구도 동물을 함부로 죽이거나 부상을 입히거나 또 는 괴롭혀서는 안 되고, 사람과 동물이 같이 살 수 있도 록 배려하며, 동물의 습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취급해 야 한다"라며 "수의사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함부로 죽임 을 당했다고 생각되는 동물사체 또는 마구잡이로 난 상 처를 보거나 고통 또는 학대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동물 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관계 기관에 통보해야 한다"라 고 정의하고 있어 특히 반려동물을 함부로 학대하지 못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 외에 가축배설물법이나 가축거래법에서도 개는 대상 동물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러한 동물애호법에도 불구하고 아직 소수의 사람들 이 개를 식용으로 하는 현실에 동물보호단체는 견육 의 수입 반대 운동을 하고, 또한 샤미센의 재료로 사용되 는 강아지 가죽의 수입 반대를 지속적으로 벌이고 있다.


한때 개를 식용으로 하였던 일본 문화에서 개식용을 하 지 않게 된 문화 혁신에 대한 고찰이 우리에게는 개식 용 금지를 위한 단초가 될 수도 있으며, 향후 연구가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련자료

  • 서명
    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420 / 45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3,420 / 45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