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혼혈 역사
컨텐츠 정보
- 1,258 조회
- 4 댓글
- 1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특정 종교에 대한 이야기이긴 한데,
하마스와 이스라엘과의 관계까지 이어지는 요즘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성경에 묘사된 유태인들의 시조가 아브라함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이 아브라함을 시작으로 이스라엘의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간단히 나열하자면,
- B.C 1,700 : 이 아브라함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인 우르를 떠나 이스라엘(가나안) 지역으로 이전 => 이라크 혈통이죠,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다만 시기가 시기인 만큼 지금과 동일한 민족 개념으로 보기는 힘듭니다.)
- B.C 1,900 : 아브라함의 손자 요셉을 기점으로 아브라함의 집안이 이집트로 이전 => 요셉의 와이프는 이집트 사람
- B.C 1,250 : 이집트 탈출 => 이때 한 집안에 불가했던 이스라엘이 민족 단위 규모로 세가 불어납니다. => 이때 많은 이집트 사람들이 같이 나왔다고 하네요.
- B.C 722 : 앗시리아에게 털립니다.
- B.C 600 : 바빌론에게 털리죠 => 언어가 아람어로 바뀝니다,
맬깁슨이 감독한 Passion of Christ 에서 예수와 여타 사람들이 이 아람어를 사용합니다, 아'랍'어 아닌 아'람'어 맞구요, 히브리어 아닙니다.
우리에게 착한 사마리안법으로 알려진 사마리안의 시작이 이때 혼혈된 사람들입니다.
유태인들이 개로 여기는 이방인과 혼혈되어 사마리안들도 개로 여깁니다.
신약성경 속 예수마저 자신의 딸이 병들어 치료를 요청하는 사마리아 여자에게 개라고 하는 대목이 나오죠.
(단순한 혼혈이라는 이유가 아니라, 이들은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일제 앞잡이 노릇을 한 부류들입니다.)
- B.C 539 : 맛집 소문 듣고 달려온 페르시아에게 털립니다.
- B.C 336 : 그리스(알렉산더)도 숟가락 들고 달려옵니다.
- A.D 70 : 로마의 식민지배를 받던 이스라엘이 항전을 계속하나 결국 패망합니다.
- A.D 1947 : 또스라엘 건국
이스라엘은 그 시작부터 이민족 다혈통이었지만
지금 기준의 민족성이 형성된 시점을 가나안(팔레스타인 지역)에 정착한 이후로 본다해도
앗시리아->바빌론->페르시아에 지배를 받으면서 그 혈통이라는 것이 퇴색해버립니다.
그래서 지금의 이스라엘을 혈통 기준으로 판단하고 주변국과의 마찰을 이해하려는 시도 자체가 어불성설이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