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요새 딥러닝(AI)를 다시 공부하다보니,,,
컨텐츠 정보
- 3,241 조회
- 9 댓글
- 2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데이터 제공 업체의 주식이 땡기네요 ㅎ_ㅎ;;;;
요 며칠 관련 업체 모니터링을 시작했는데
상황 봐서 좀 담아 보려고 합니다
원생 시절에 딥러닝 공부 할 때는 알고리즘이 지금처럼
잘 굴러가지도 않았고,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영상 처리 방법도
직접 찾아서 적용해서 해야 했기에..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는
그냥 삽질 노가다 정도의 느낌이였지요. 근데 요새는 영상 처리 방법도
스스로 찾아 가더군요 -0-; 제 학위는 휴지가 되었습니다ㅋㅋㅋ
아무튼 예전에는 곁다리로 하는 공부였는데 막상 텐서플로어로
다시 시작해보니 데이터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는게 느껴집니다.
솔직히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는 이미 오픈 된 것들만 이용해도
충분하다 보니 쉽게 테스트도 되는데, 데이터의 비중이 80~90%는
되는 것 같아요.
여기서 데이터라 함은 유의미한 정보를 잘 정리하여서
이를 잘 규격화한 상태라고 생각합니다.
여하튼, 데이터 제공 업체의 주식이 땡기게 되었네요 ㅋ
특히나, 자율주행관련 정보 제공자에 관심이 생겼네요.
저는 이제서야 술병에서
벗어나 운동?해 볼까?합니다.
즐거운 토요일밤되십시오.
관련자료
댓글 9
미우님의 댓글
수십년된 신경망은 그냥 비슷한 알고리즘 중 하나였는데
게임기(vga)의 연산능력이 때려박는 공정기술의 발달과 해당산업 수요증가로 거대(실은 비대)해지면서
더 빠르게 돌릴 수 있는 꼼수가 몇개 생기고 dl이라고 창씨개명한 거라는 건 전공하시는 분들은 아실건데
잘 보면 인간뇌가 더 나은 회로로 돌아가는 건 맞지만, 결국은 이거나 인간 뇌나 이분법적 선형회귀분석인 건 동일하지 않나 유추해봄직...
갓이란 놈은 왜 인간뇌에 양자회로는 추가를 안해준 걸까요(귀신 보고 미래 본다는 인간들이 사실이라면 그것도 넣어준건가) ㅎ
게임기(vga)의 연산능력이 때려박는 공정기술의 발달과 해당산업 수요증가로 거대(실은 비대)해지면서
더 빠르게 돌릴 수 있는 꼼수가 몇개 생기고 dl이라고 창씨개명한 거라는 건 전공하시는 분들은 아실건데
잘 보면 인간뇌가 더 나은 회로로 돌아가는 건 맞지만, 결국은 이거나 인간 뇌나 이분법적 선형회귀분석인 건 동일하지 않나 유추해봄직...
갓이란 놈은 왜 인간뇌에 양자회로는 추가를 안해준 걸까요(귀신 보고 미래 본다는 인간들이 사실이라면 그것도 넣어준건가)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