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알래스카 LNG
컨텐츠 정보
- 2,906 조회
- 2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또람프가 알래스카 LNG개발을 승인함 송유관 건설 비용이 문제인데... 이번에 이시바가 송유관 건설에 투자하겠다고 함
알래스카 북부 가스를 남부 송유관으로 보내서 한국,일본,대만에 팔아먹을 생각임
카타르 보다 가깝고 일본은 알아서 넙죽 대규모 투자하고 가스도 사주겠다는 해서 무역관세 돌파해볼 모양이고
한국은 알래스카 남부에서 한국이나 일본으로 운송하는 LNG선 수주받을수 있으니 가스 살테고
대만은 운송 LNG선 보호 목적으로 군함을 파견하면 중국 견제 효과 때문에 가스 살테고
일본, 한국, 대만이 미국 LNG가스로 결속되는 모양새 러시아가 좀 배아프겠네.
관련자료
-
서명
댓글 2
KingCrab님의 댓글
우리나라가 한미 무역 역조 현상으로 미국산의 일정양은 일부러 사주고는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미국쪽으로 공급양을 늘려서 저거 사주는 게 주한미군 방위비를 올려주는 거 보다 훨씬 더 많이 미국에 가져다 바치는 꼴이 될 수도 있다는 점.
미국산 천연가스는 가격 자체가 비싸니.
2023년에 우리나라는 52조원 어치 천연가스를 수입했었습니다.
이중 말레이시아 612만 5971톤, 미국 511만 8181톤, 오만 496만 9566톤, 인도네시아 290만 9855톤, 러시아 연방 165만 6228톤 등으로 수입했죠.
2023년 수입량에서 미국산 비중은 12.5%.
저렴한 러시아산은 그동안 미국 눈치 봐가면서 수입해 그 비중을 높일 수 없는 현실.
하지만 미국쪽으로 공급양을 늘려서 저거 사주는 게 주한미군 방위비를 올려주는 거 보다 훨씬 더 많이 미국에 가져다 바치는 꼴이 될 수도 있다는 점.
미국산 천연가스는 가격 자체가 비싸니.
2023년에 우리나라는 52조원 어치 천연가스를 수입했었습니다.
이중 말레이시아 612만 5971톤, 미국 511만 8181톤, 오만 496만 9566톤, 인도네시아 290만 9855톤, 러시아 연방 165만 6228톤 등으로 수입했죠.
2023년 수입량에서 미국산 비중은 12.5%.
저렴한 러시아산은 그동안 미국 눈치 봐가면서 수입해 그 비중을 높일 수 없는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