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신세대 직장인 마인드... 카카오톡 문제인 이유...(펌)
컨텐츠 정보
- 4,604 조회
- 20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저 글이 진실인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제가 파악하는 세상과 비슷하긴 합니다...
많이 다른 세대들 이라는...
저 친구들도 이런 이야기 많이 하더라는...
그냥 저러면 신상필벌
적어놓고 기록대로 하면 된다는 군요...
개소리 하면 기록 보여주면 된다고... ㅎ
그런데 이게 옳은 세상인가요????
@@
관련자료
-
서명물속에서 꼬르륵 ~~~~
댓글 20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물론 흔히 말하는 문제 회피형 유형이 점점 많아지는 사회인 건 맞는 것 같기도 하지만, 그런 시대흐름이나 사회현상의 문제는 그것만은 아니고
저런 글 올리는 자체가 자랑할 것은 아니라보지만, 무급이든 말든 이왕 나왔으면 책임을 다 해야지라고 생각한다면 전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저 같음 나가지도 않았을 거 같지만 나가 앉아있는 것만도 일정 책임은 하고 있다고 보네요. 책임의 범위를 어디까지 지울지는 과거의 관행이나 기억은 아니라고 보이고, 회사입장에서 책임을 다 하지 않았다 생각하면 자르면 되는 듯(회사의 피고용인에 대한 책임은 별도로 하더라도)
제 생각엔 어차피 저기서 할 거 다해주고 회사의 책임을 물어봤자 호응 없거나 너 나가 될 듯 하고
그런데도 계속 해주는 게 관행을 이어나가는 원동력으로 남을 듯 하고 그런 듯...
저런 글 올리는 자체가 자랑할 것은 아니라보지만, 무급이든 말든 이왕 나왔으면 책임을 다 해야지라고 생각한다면 전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저 같음 나가지도 않았을 거 같지만 나가 앉아있는 것만도 일정 책임은 하고 있다고 보네요. 책임의 범위를 어디까지 지울지는 과거의 관행이나 기억은 아니라고 보이고, 회사입장에서 책임을 다 하지 않았다 생각하면 자르면 되는 듯(회사의 피고용인에 대한 책임은 별도로 하더라도)
제 생각엔 어차피 저기서 할 거 다해주고 회사의 책임을 물어봤자 호응 없거나 너 나가 될 듯 하고
그런데도 계속 해주는 게 관행을 이어나가는 원동력으로 남을 듯 하고 그런 듯...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위 글로 느낀 건 그것과는 다른 듯 한데요.
토요일은 무급, 16시간은 무조건 무급이라고 말하는 걸 봐선 이번 장애에 대한 처우가 아니라 평소 그렇다는 얘기 같고, 쭉 부당한 대우라면 급한 불은 지들 입장에서나 급한 불인 거죠.
아래 Banff님 말씀처럼 계약 마다 다르겠지만 일에 대한 계약이 아니라 인력에 대한 계약이라면 연봉제라도 법에 정한 근로 시간이 있는 거고. 일에 대한 계약이라면 본문의 부조리는 계약 맺은 하도급의 문제겠지만.
물론 시대상에 따른 세대간 의식 변화야 당연히 있는 거지만 위 내용으로는...
토요일은 무급, 16시간은 무조건 무급이라고 말하는 걸 봐선 이번 장애에 대한 처우가 아니라 평소 그렇다는 얘기 같고, 쭉 부당한 대우라면 급한 불은 지들 입장에서나 급한 불인 거죠.
아래 Banff님 말씀처럼 계약 마다 다르겠지만 일에 대한 계약이 아니라 인력에 대한 계약이라면 연봉제라도 법에 정한 근로 시간이 있는 거고. 일에 대한 계약이라면 본문의 부조리는 계약 맺은 하도급의 문제겠지만.
물론 시대상에 따른 세대간 의식 변화야 당연히 있는 거지만 위 내용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