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산수 논리 해보세요.

컨텐츠 정보

본문

정답을 맞추기까지 몇분 걸리는지 체크.


연두색 박스 안에 수자를 베이지색 박스에 넣는 겁니다.



관련자료

  • 서명
    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댓글 10

별이님의 댓글

요즘 시간때우기로 하고 있는 지뢰찾기하고 스도쿠랑 합친 느낌이네요~

미우님의 댓글의 댓글

이것도 스도쿠류 맞아요.
풀이...

테이블 : 96 80 44 27 24 24 22 21 18 14 12 12 10 8 3 1 1

1. 답정너
21-9= 12
10+14= 24

rest
96 80 44 27 24 22 21 18 14 12 10 8 3 1 1

2. +피가수 -감수
더 큰 수라야 함
-21 >      96(65) 80(59) 44(23) 27(6) 24(*3) 22(*1)
30+ > 96(66) 80(50) 44(*14)
59+ > 96(37) 80(*21)

※ *표시가 가능한 조합
44/14
80/21
24/3 or 22/1

rest
96 27 22 18 12 10 8 1 1
or
96 27 24 18 12 10 8 3 1

3. / 젯수
더 작은 수이면서 곱해서 젯수가 되어야 함
22/ < 22(*1)
21/ < 21(*1) : 59+ 의 결과로 피젯수가 정해진 녀석

22/1
21/1

rest
96 27 18 12 10 8 : 1이 두번 쓰이므로 이전 단계의 둘 중 앞의 것
따라서 2의 -21은 24/3 or 22/1 중에 자동으로 24/3으로 결정


4. -피감수
더 작은 수라야 함
28- < 18(*10) 12(16) 10(*18) 8(20)
하나는 3번까지의 결과로 21(*1)로 이미 결정
10/18

rest
96 27 12 8

5. +가수
28- 의 결과로 피가수가 결정된 녀석의 가수가 10인지 결과가 10인지는
가수 부분 세로의 곱셉 결과가 80인 것에 의해
가수가 10, 결과가 18


6. 남은 *승수, +가수, 기타
10x ? = 80 -> 8
그 결과
8x ? = ?
의 경우 승수가 28-의 결과 18 + ? = 30의 ?에 해당하기에
8x 12 = 96

끄읏

Analogue님의 댓글

( 재수없는 지적질 )

흔하게 하는 실수들인데요.

맞추다 ( X )
맞히다 ( O )

' 맞히다 ' 의 용법은 딱 두 가지 밖에 없습니다.
 정해진 것 ( 시험문제, 과녁/표적 등에 적중하는 것 )에 맞게하는 것.
 ex) 화살/총알을 과녁에 맞히다.
      공을 방망이에 맞히다.
      ← 스포츠 해설자들이 가장 실수 많이 하는 부분.

그 이외의 것들은
모두 ' 맞추다 '를 사용하신다면...실수가 없죠.
ex) 옷을 맞추다.
      신발을 맞추다.
      틀니를 맞추다.


하지만...
제시한 예문이 퍼즐을 맞추는 형식이라...
재수없는 지적질이 틀릴 지도...
수다 8,057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수다 8,057 / 1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