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불가리아인 어머니, 北 돌아간 남편 평생 기다려

컨텐츠 정보

본문



한반도 분단으로 인한 비극의 산물. 냉전시대 아픔을 그대로 간직한 국경 초월 사랑 이야기.

불가리아 국립 소피아대학 지리학 및 국제안보학 교수 카멘 남(Kamen Nam·59)씨의 가족사를 이야기할 때 빠짐없이 나오는 수식어다.

북한 국적의 아버지와 불가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의 인생스토리는 한국전쟁 직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북한은 한국전쟁 직후 부상당한 군인들을 요양과 교육 목적으로 여러 동유럽 공산국가들로 보냈다. 그 중에는 남 교수의 아버지 남승범 씨도 포함돼 있었다.

남 교수의 아버지는 5년간 불가리아 소피아대학에서 공부하던 중 부상 치료를 위해 다니던 재활센터에서 남 교수 어머니 예카테리나 씨를 만나 결혼한다.

그러나 행복한 결혼생활도 잠시, 남 교수가 2살이 되던 해인 1959년 남 교수 아버지는 북한으로 귀국 명령이 떨어져 평양으로 복귀하게 됐고, 그렇게 남 교수의 가족은 이산가족이 된다.

이후 남 교수 아버지는 김책공업종합대학에 교수로 자리잡게 되자 불가리아에 남아 있는 부인과 아들을 데려오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고, 결국 부인은 북한으로 가 남편과 재회하게 된다. 당시 남 교수는 전쟁으로 피폐해진 북한에 데리고 가기에는 너무 어려 어머니는 그를 불가리아 친정에 맡겨두고 홀로 북한으로 향했다.

어렵게 다시 만나게 된 부부의 평양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남 교수의 아버지는 부인이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박해를 받았고, 결국에는 대학교수 자리까지 빼앗겨 북한 사회에서 고립되고 퇴출당하게 됐다. 남 교수 어머니는 남편이 당하는 고통을 보고 2년 만에 불가리아로 혼자 돌아오기로 결정했다.

불가리아로 돌아와 북한 생활을 하며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코리아」라는 책을 발간했으나 북한 치부를 드러냈다는 이유로 전량 수거, 폐기돼 현재는 불가리아 국립도서관과 본인 소장본 등 단 2권만 남아 있다고 한다.

남 교수의 어머니는 불가리아에 돌아온 이후 재혼을 하지 않고 평생 수절했으며, 아들의 성도 바꾸지 않고 ‘남’씨를 그대로 사용해 왔다. 또 혹여 남편에게 해가 될까 북한과는 일체 연락을 끊고 살았다. 이후 남 교수의 아버지에 대한 소식은 북한에서 재혼해 1남 2녀를 낳았다는 것과 1989년 사망했다는 것이 전부다.


2azsMhB.jpg


남 교수는 현재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없고, 헤어지기 직전 2살 때 아버지와 찍은 사진만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가슴 아픈 가족사를 안고 있는 남 교수가 29일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지난 5월 불가리아를 방문했다가 남 교수의 사연을 전해 들은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초청으로 이뤄진 방한이다.

남 교수는 방한 첫날 이복형제 3명 중 탈북해 한국에 사는 둘째 여동생과 상봉한다. 이어 화성시 비봉면에 있는 남이(1441∼1468)장군 묘를 참배한다. 남 교수는 남이 장군의 19대 후손이다.

30일 오전에는 ‘제315회 21세기 희망의 경기포럼’에 참석해 ‘지리학자가 본 불가리아 발칸 비경과 한국으로의 여정’이라는 주제로 강의도 한다. 또 남 지사 초청 오찬에 참석하고, DMZ도 방문한다.

김규식 도 외교정책과장은 "남 교수는 냉전과 한반도 분단의 비극을 그대로 안고 살아온 사람"이라며 "한국 방문기간 동안 처음 만나는 여동생과 함께 뜻깊은 시간을 보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 서명
    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댓글 2
전체 1,235 / 8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1,235 / 8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