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 분류

러시아 전쟁으로 본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 목격

컨텐츠 정보

본문

인구 1억 4천만명이 넘는 러시아가, 상비군 135만명을 지닌 러시아가 왜 이리도 군인 수가 부족해서 쩔쩔매는가 했는데.


실제 중앙 연방군은 37만명 정도.


그리고 나머지는 지역 편제 주 방위군들이더군요.


즉, 토호들 아래에 있는 군 편제라는 거죠.


푸틴이 전쟁에 직접 투입시키기에 가장 만만한게 우랄 산맥 서쪽의 중앙 연방군과 슬라브 고유 민족이 많은 지역의 군인들인데, 이들 군인 수로는 미제, 유럽제 무기로 무장하고 많은 동원병을 거느린 우크라이나 군을 상대하기엔 많이 버겁죠.


사실상 현재 우크라이나는 전국민 동원 체제이니까요.


반면 러시아는 결속감이 떨어지는 다른 주, 다른 이방인 영역에서는 군 착출이 생각 외로 쉬운 일이 아닌가 봅니다.


대한민국도 극심한 망조의 저출산 국가인데, 토착왜구들이 아직도 설치는 것도 모자라 국민 구성원들을 이방인들로 채우고 있는데.


훗날 우리 군이 다문화 군이 되고 나면 군 사기, 응집력은 이전보다 많이 다를 것으로 봅니다.


다문화 군대는 미국 수준의 국방력의 질과 시스템이 아니면 효과를 최대화하기는 힘들다고 저는 봅니다.


러시아에 와서 많은 걸 보고, 겪네요.

관련자료

  • 서명
    한러를 유랑하는 킹크랩 도령
댓글 3

KingCrab님의 댓글의 댓글

핵 단추는 절대 전세가 유리할 때 만지지 않죠.

러시아 측이 위급하다고 느낄 때 거론될 수 있는데 지금 상황이 그러하다고 봅니다.

전쟁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네요.

아발란세님의 댓글

다문화라서라기보다, 민족별로 나뉜 연방체제 비슷하게 구성된 것이 저런 문제를 일으키는게 아닌가 싶네유.
미국도 다문화인데 러시아와는 상황이 많이 다르쥬..
전체 3,364 / 7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3,364 / 7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