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왕자의 난 당시 미스테리하게 살아남은 인물
컨텐츠 정보
- 681 조회
- 1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대사헌 이직(李稷)
1차 왕자의 난에 관련되었던 사람들은 정도전, 남은, 심효생, 이무, 이근, 장지화, 정영, 졍유, 정담, 박위 등은 물론이고
왕족이었던 의안대군 이방석, 무안대군 이방번도 왕자의 난 당시 혹은 이후에 목숨을 잃었으나
이직은 정도전 등이 살해 당하던 현장에서 종으로 변장하여 도망친 후 목숨을 건졌는데
미스테리하게도 왕자의 난 직후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이방원의 용서를 받아 조정에 복귀하기까지 함
(꺼무위키 등에서는 이직의 딸이 민씨 집안에 시집갔던 것이 어떻게든 작용한게 아니냐고 추측)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고증오류로 1차 왕자의 난 때 철퇴에 맞고 사망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걸 가지고 제작진을 탓하기에도 애매한 게 왕자의 난 당시 킬방원이 살려 보낸 인물이 거의 없고
운 좋게 현장에서 살아남았다고 해도 이후에 찾아내서 죽이거나 귀양 보내서 죽였기 때문에 '여튼 죽었음'이라고 퉁치면
대부분 해결되는데 이직의 경우에는 살아남았을 뿐 아니라 이후 조정에서 영의정까지 오르는 정말로 특이한 케이스임.
여튼 제작진도 뒤늦게 오류였음을 깨닫고 다른 배우를 등판 시켜서 예토전생시켰고 역사적으로도 드라마에서도
워낙 존재감이 없던 인물이라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전혀 깨닫지 못한 채 드라마를 봤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었음
다만 후손들인 성주 이씨 문중에서는 조상님이 나오시는 드라마를 관심있게 시청하다가 아직 돌아가실 타이밍이 아닌데
일격에 주님 곁으로 가버리시는 걸 보고 상당히 쇼크를 받았다는 후문
사실 여말선초 인물들이 대부분 그렇긴 했지만 일생 자체가 파란만장했던 인물임
출생배경 - 당대 권문세족이었던 성주 이씨 출신으로 먼 친척도 아니고 큰아버지가 바로 그 이인임.
1377년 - 무난히 성장하여 16세에 문과에 급제, 이후 각종 벼슬을 하며 승진.
1388년 - 예문제학을 지내다가 최영, 이성계 등이 이인임을 실각시킨 '무진피화'에 휘말리며 전주로 유배당함
1392년 - 이인임의 가까운 친인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성계 추대에 참여, 조선건국에 동참하여 개국3등 공신으로 인정받음
1398년 - 1차 왕자의 난 당시 정도전 등과 정모 중이었는데 이방원의 습격을 받고 살해당할 뻔 했으나 변장하여 도주에 성공
1399년 - 이방원의 용서를 받아 복직, 정2품으로 승진
1400년 - 2차 왕자의 난 당시에는 학습효과가 있었는지 이방원 편으로 감. 이후 공신에 오르고 무난한 관직생활
1415년 - 폐세자 논쟁 때 황희와 함께 양녕대군 쉴드치다가 빡친 태종이 귀양보내버림.
그 와중에 민씨집안이 개박살나면서 스플뎀으로 공신 직위를 박탈당하는 등 추가징계로 완전히 가버림.
귀양 간 이직은 새옹지마 인생사에 현타가 왔는지 방에 들어가서 책만 읽고 손님이 오면 만나지 않았다고 전해짐.
1422년 - 이방원이 미안했는지 과부가 된 이직의 딸을 자신의 후궁으로 들이면서 사면해주고 공신도 복귀시켜줌.
하지만 현타가 제대로 온 이직은 '그다지 기뻐하지 않았다'는 얘기가 조선왕조실록에 오피셜로 남아있음.
1423년 - 이직이 징계당하던 당시에 정치적 이유로 이직을 극딜했던 반대파벌들이 이직이 컴백하면 복수당할까봐
그의 죄가 가볍지 않다며 다시 귀양보내야 한다는 상소를 계속해서 올림.
하지만 세종은 다 씹어버리고 오히려 영의정으로 승진시킴.
이후 인생의 도를 깨우친 듯한 이직이 복수는 커녕 파벌도 만들지 않고 그냥 일만 하는걸 보고 반대파들도 조용해짐
1430년 - 황희와 조정에서 계속해서 일 하다가 은퇴. 이듬해에 사망
으로 끝나는 줄 알았지만
1469년 - 예종 때 세종의 묘가 풍수 상 좋지 않다는 이유로 새로운 자리를 찾아보던 와중에 적절한 장소를 발견했는데
그게 하필 이직의 묘가 있던 자리라서 양보(?)하고 이사가게 됨.
후사가들은 '살아생전 모시던 임금에게 죽어서도 봉사한 참 된 충신'이라며 높게 평가.
여튼 여말선초엔 재밌는 사건과 인물들이 많다
관련자료
-
서명날으는 황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