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 분류

외계생명체가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유

컨텐츠 정보

본문

 

Loading the player...




우주에 대한 많은 논쟁들 가운데

이런 것이 있다

 


지구의 모래 vs 우주의 별


어떤 것이 더 많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인간이 관측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별 숫자만 따져도

 


별이 모래보다

더 많다

 

 

 

 

 

 

우주의 별 수인

700해라는 숫자의 크기는 어떻게 해야 실감할 수 있을까?

 

어른이 양손으로 모래를 퍼담으면

그 모래알 숫자가 약 8백만 정도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해변과 사막의 면적을 조사하면

그 대강의 모래알 수를 얻을 수 있는데,

 


계산에 의하면 지구상의 모래알 수는

대략 10^22(100해)개 정도로 나와있다고 한다

 

 

 

 

 

따라서 우주에 있는

모든 별들의 수는

지구의 모든 해변과 사막에 있는 모래 알갱이의 수인

10^22개보다 7배나 많다는 뜻이다

 


이 우주에 그만한 숫자의

'태양'이 타오르고 있다는 말이다

 

 


그것들을 1초에 하나씩 센다면,

1년이 약 3200만 초이니까

자그마치 2천조 년이 더 걸린다

 

 

 

 

 

드라이버 박사는

우주에 이보다 훨씬 더 많은 별이 있을 수 있지만,

 


7x10^22승이라는 숫자는

현대의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범위 내 별의 총수라고 한다
별의 실제 수는

거의 무한대일 수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우주는 인간의 상상력을 초월할 정도로

너무나 크기 때문에

우주 저편에서 출발한 빛은
아직 우리에게 도착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태양계 행성

공전속도 비교

 

 

 

 

 

 

지구 크기

 

 

 

 

 

 

저 점들이 별 한 개가 아닌

은하계의 모임

 

 

 

 

 

 

 

 

관련자료

  • 서명
    날으는 황웅
댓글 2

미우님의 댓글

우주가 무한히 넓은 것과 그렇게 넓으니 우리 말고 다른 누군가가 있을 것이다는 아직까지 근거가 되는 논리라고 보기엔...
많은 희망 섞인 바람이긴 하지만

역적모의님의 댓글

외계에 생명체는 있죠.

단세포 생물이라면 당연히 없을 확률이 거의 없을 거구, 지능이 있는 생명체라 하더라도, 사람의 형상이나 활동에 얽메이지 않는다면 상상도 못할 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구요 ㅎㅎ
전체 9,249 / 10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9,249 / 10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