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 분류

왜구의 영아 살해 풍습 `솎아내기`

컨텐츠 정보

본문


마비키, '솎아내기'라는 의미임

 

위 책은 마비키를 연구한 미국 역사학자의 저서 

 

 












마비키 장면을 표현한 민화  

 








혼란의 전국시대가 끝나고

 

평화의 에도시대가 왔지만

 

일본의 인구는 좀처럼 늘어나지 못했음

 

그 이유를 바로 영아 살해 풍습인 '마비키'에서 찾고 있어

 

마비키가 유행했던 이유는 일본의 지나치게 높은 세율에서 찾고 있음

 

당시 동북아 국가들 중에서 유독 높은 세율을 가졌었다고 해

 

생산량의 50~70% 수준을 요구했다고 하는데

 

참고로 조선의 세율은     10% 정도

(+공납, 역, 환곡까지 다해도 25% 정도라고 함)

 










높은 세율에 살아남기 위해 서민들이 선택한 방식은

 

입을 줄이는 것이었음 

 

사실 이런 류의 일은 다른나라에서도 있기는 했지만

 

일본에서 유독 많이, 대수롭지 않은 일로 여겨졌다고 해

 

이것은   영아살해에 큰 죄책감을 느끼지 않았던 세계관 탓도 있음











7세 이하의 아이들은 '신의 아이'라고 불렸는데,

 

한명의 독립된 존재라기 보단 신의 소속이기에 언제든 신의 품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고 여겼다고 해

 

즉 신께서 내게 잠시 맡겨두신 아기인데, 내가 기르는 대신 그냥 신께 돌려드리기로 했다 정도의 사고방식 

 

 

 

 

마비키는 메이지 시대  (1868년)에 와서야 엄격하게 금지되는데

 

인구 부양 정책의 일환이었음

 

 

하지만 서민들은 여전히 몰래몰래 마비키를 지속했다고 함

 

당시 기록에 모든 가구가 1남 1녀만 있는 마을에 대한 기록이 나오는데

 

이것은 마비키가 아니고선 불가능한 사례

 

1930년대까지도 일부 지역에서 남아있었다고 함











당시 일본 사회를 잘 보여주는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

 

마비키+오바스테(늙은 부모를 산에 버리는 일)으로 인구를 조절하는 한 마을에 대한 이야기

 

 

 

참고로 고려장(오바스테)은 본래 한반도의 문화가 아니고

 

일본의 문화야.

 

어떤 고려 문헌에도 등장하지 않는 이야기라고 함 



관련자료

  • 서명
    날으는 황웅
댓글 1

역적모의님의 댓글

한국은 입을 줄이기 위해서 부잣집에 식모로 보내서 어찌됐든 살리려던 것과는 대조적이네요.
전체 9,258 / 4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9,258 / 4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