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 분류

귀농자가 말하는 귀농귀촌이 실패하는 이유 (스압)

컨텐츠 정보

본문



귀농 귀촌 하는 사람 중 왜 다수가 실패할까?

농사인데?
왜 귀농 귀촌에 대해 말이 많을까?

1. 실패한 사람들이 많이 들어옴

-> 도시 사회에서 경쟁에 밀려나거나, 취업을 못했거나 사회 부 적응 자거나, 퇴직 후 달리 할게 없는 사람들이 주로 많이 들어옴.

농촌 기술 센터 같은 곳에 가면 귀농 귀촌자들 많은데,

"농사가 좋아서요"

이러는 사람 다 구라 임.

다들 도시에서 뭐했냐고 물어보면 하던 거 망하거나, 공무원 시험 실패했거나 진짜 할 거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오는 사람들이 대부분임.

도시에서 성공하고 잘사는 사람이 오겠음?

도시에서도 성공 못하고 부 적응한 사람들이 오다 보니, 시골에 와서도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정말 많음.

그래서 시골에서도 예전에는 귀농 귀촌 하는 사람을 반겼는데

와도 자기들끼리 살지

교류도 없지

거기에 누가 사는지도 알 길이 없지

지역사회에 아무런 도움도 안되지.

사고는 또 많이 치지.

요즘에는 그냥 안 왔으면 하는 분위기임.

"안 갑니다~" 이러는데

"오지 좀 마세요" 하고 이쪽에서 오히려 부탁하는 분위기다.

 

 

 


2. 사전 조사 없이 들어옴.

-> 귀농 귀촌 한다는 사람들이 아무런 사전 조사나 준비도 없이 들어와서 공무원들 말하는 거만 믿고 시작함.

농민들이 벼농사부터 시작하라고 귀띔해줘도 시작부터 어려운 상품 작물이나 독특한 작물 기른다고 설비 투자비 엄청 써 대다가

빚더미에 앉아서 나감.

보통 빚을 3억 정도 안고 집에 가더라.

웃긴 건 이렇게 귀농에 실패한 사람들이 1년~2년 만에 도시로 돌아가서는

"야, 너 귀촌 한다며?" 하고 물어보면

"ㅅㅂ 롬들 텃세 땜에 옴" 이런 식으로 다 말함.

정작 지역민들은 그 사람이 농약 사러 오거나 할 때 말곤 얼굴도 본 적이 없는데..

 

 

 


3. 돈을 함부로 씀.

-> 지자체마다 달라서 귀농 귀촌 지원금이 다 다르지만 보통 1억 전후로 준다고 보면 되는데

1억 받으면 정말 이걸 잘 생각해서 작은 거부터 하나하나 시험해보고 시도해보면서 하지 않고

이 돈으로 진짜 룰에 정해진 기본적인 시설과 가축 혹은 작물만 해 놓고

차 사고 옷 사고 집 리모델링 하는데 쓰는 사람 정말 많음.

그러다가 태풍 오거나, 작물이 병들거나 하여 조져 버리거나,

그해에 너무 풍작이 들어 가격 가치가 하락해서 본전을 못 찾으면 그대로 망함.

이런 걸 말해줘도 아무도 진지하게 안 들음.

그리고 다음 해에 보면 그 집 마당에 풀이 한가득 자라있음.

사람이 떠나서

 

 

 



4. 건물을 잘 못 지어 화를 부름

 


1) 맹지

도로가 이어져 있지 않은 못쓸 땅을 맹지라고 하는데

이런 것도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사서 건물 올렸다가

나중에서야 맹지임을 알고 난리가 나는 경우가 있음.

이러면 말없이 남의 땅에 무허가 도로를 놓거나

옆 농지 주인에게 도로를 놓아 달라고 해야 하는데 여기서 부터 사단이 남.

이거 때문에 싸우다가 나가는 사람 정말 많이 봤음.

 

 

 


2) 지하수 문제

시골은 물을 쓰려면 지하수를 파서 써야 하는데

지하수를 미처 생각 못한 사람들이 남이 파 놓은 관정을 불법으로 이용하다가 사단이 발생하는 경우도 존나 많음.

관정을 새로 뚫는 비용도 비용이거니와, 이걸 파려면 관청에서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허가를 받는 것도 받는 거지만, 허가를 받으면 수시로 점검을 받고 수질이 적합한지 점검을 받아야 하니까

불법으로 뚫거나 남에 것을 사용하다가 싸움이 벌어지는 것..

사람들이 왜 남에 걸 함부로 쓰는지 도대체 이해가 안감..

 

 

 


3) 내집 앞 도로가 알고 보니 남의 사유지?!

귀농 귀촌할때 도로도 잘 닦여 있고

땅도 남방향 보고 배산 임수로 좋아서 집을 지었는데 알고 보니

집앞 도로가 사유지여서 난리가 나는 경우임.

집앞의 도로 주인이 나중에서야 도로가 자기땅인 것을 알고 권리 회복절차에 들어가면

나는 내집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사라지는 것!

 

 

 


이외에도 남의 사유지에 불법 무허가 도로를 닦는 귀농 귀촌자도 있고

[자기 차가 펠리세이드라 넓은 차인데 도로가 작으니 무단으로 논을 밀고 도로를 넓힌 사례]등도 있고

남에 땅인데 그냥 막 파버리는 사람 등등...

별의 별 사람이 다 있음.

 

 

 


반대로 사유지에 도로를 내놓고 쓰던 사람이,

대구나 서울에서 귀농 귀촌자가 와서

일언반구도 없이 마음대로 자기 도로를 사용하니까, 불쾌함을 품고 있다가

못 참고 '너 도로 쓰지마!' 하고 사유지임을 주장하며 도로를 막는 경우도 있음.

그런데 도시 사람은 이걸 이해를 못하는 거지.

도로가 나있으면 다 국유지 도로인 줄 알거든.

사유지라는 걸 이해를 못하고, 왜 도로를 막느냐며 싸우다가 이제

"아! 거참 시골 인심 야박 하네!!" 소리 나오는 거임.

  

 

 


[남의 사유지를 깎아내고 무단으로 진출입로를만들었다가 들킨 사진]

 

 

 

 

그 외에도 농지 용도에 맞지 않은 땅을 사거나

용도 변경이 안되는 땅을 알아보지도 않고 사서 건물을 못 올리고 전전긍긍 하다가 나가거나

하는 등등 별의 별 일이 많음.

텃세를 한다는 이야기도 이해가 안되는 게

 

 

 

 

귀농하면 이런 식으로 건물 올리고

자기들끼리 살거나 아니면 그냥 집에 있을 때는 대문 걸어 잠구고 지내다가

자기 할 거 하면서 지내면서 접촉 일체를 안 하면 텃세를 불릴려고 해도 부릴 수가 없음.

도대체 뭘 어찌 했길래 텃세를 당하는 건지 정말로 이해가 안감.

지역민과 말을 안 하면 되는 거 아님 말을.

 

 

 


5. 농사를 만만하게 보고 옴.

귀농 귀촌하는 사람들 보면 그냥 막연하게

'어케든 되겠지. 무지렁이들도 하는 건데 내가 못하겠나?' 하고 옴

그런데 농사일이 하루 종일 논밭에서 반복 노동 하는 거고

수확 시기, 약 칠 시기, 파종 시기, 비료 줄 시기 등도 정확하게 작물 상태를 보고 가늠해야 하는데

그런 걸 모르고 그냥 하다가 망함.

그리고 노동량이 많다 보니 엄청 힘든데 이걸 감안 안하고 들어와서는

힘들다고 포기하는 경우도 많음.

그 외에도 무조건 싼 씨앗이나 모종을 사서 심다가 병으로 다 작살 나거나

비료 뿌릴 시기에 안 뿌려서 노랗게 다 떠서 죽거나

하는 등 농사 공부를 안 하다가 조지는 사람 많음.

 

 

 

 

예를 들어 소를 키운다고 치자.

소 사료는 뭘 먹여야 함?

소가 버티기 힘들어 하는 온도는?

소가 흰 똥을 누면 문제가 무엇?

소가 설사 하면 어떤 주사를 맞혀야 하는지?

귀표는 언제 다는지 누가 다는지?

소의 발정은 언제 오는가? 어떤 양태로 오는가?

소를 어케 인공 수정을 시키는가?

소가 죽으면 어케 시체를 처리하는가?

소 분뇨로 민원이 발생하면 어케 처리하는가?

소 분뇨는 어케 처리하는가?

소를 팔고 싶으면 어케 해야 하는지?

소의 경매 시스템은 어케 되는가?

소가 난산으로 새끼가 걸려 안 나오면 어케 조치해야 하는가?

등등 알아야 할게 한 두 가지가 아님.

 

 

 

 

"왜 귀농 귀촌 하려 합니까?"

라고 물으면 제대로 대답하는 사람이 거의 없음

대답을 해도 대다수의 사람이

"소박하게 살려고 합니다."

"경쟁 사회에서 벗어나 살려고 합니다."

라고 대답하는데 이건 정말 잘못된 생각임.

농촌 사회도 경쟁 사회임.

그것도 상당한.

 

 

 

 

 

 

6. 지역민들이 자신들이 오길 원한다는 착각

-> 귀농 귀촌을 하라고 손짓을 하고 돈을 주는 건, 인구 급감으로 당장 성과를 내야 하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지자체와 공무원들임.

지역 주민이나 농민들은 누가 귀농 귀촌하는 거에 관심이 없음.

그런데 젊은 사람들이 오면 자기가 어벤저스나 농촌 살리러 온 사람 마냥 으쓱거리고

"자꾸 이러면 서울로 돌아가겠다" 는 식의 이해하기 힘든 말을 하는 사람이 많이 있었음.

부산 경성대 출신의 30대 남성 분이랑 술을 한잔 한 적 있는데

같은 귀농 귀촌인으로서 동병 상련 하려고 불러서 이야기를 나누는데

시설 설비에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간 것에 비해

버섯 생산량은 저조하여 걱정되어서

"시설 투자를 너무 많이 한 게 아니냐" 했더니

"신경 꺼라" 며 바로 역정을 냄.

나도 이일 뒤로 크게 데인 느낌이 들어서

누가 뭘 하든 신경 끄고 내 할일 하면서 살고 있음.

물론 그 사람은 부산으로 돌아감. 실패하고




나도 귀농 귀촌 경험자로서, 길게 주절주절 써보았음.

솔직하게 대부분의 사람들이 도시에서 실패한 사람들이

귀농 귀촌 지원금 1억여원을 목표로 왔다가

세금만 낭비하고 도시로 돌아가는 경우가 전체의 80% 이상 이였음.

와서 최소한으로 갖추어야 하는 소나 축사만 갖추고

세금으로 놀고 먹다가 감.

농촌 살린다고 귀농 귀촌 사업하는데

세금 낭비이고, 나는 이거 안 했으면 좋겠음.



 



출처 개드립 - 귀농자가 말하는 귀농귀촌이 실패하는 이유

https://www.dogdrip.net/340093839



관련자료

  • 서명
    날으는 황웅
댓글 2

역적모의님의 댓글

제대로 된 교육시설이나 학습체험 같은 것을 사전에 병행하면서 귀농사업 등을 진행하면 좋을텐데.

IbelieveinYou님의 댓글

귀농이나 귀촌하는 사람들이 준비하는 것 없이 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거기 사는 사람이 전혀 텃세없다는 것도 거짓말임..
춘천출신인데 전원주택사는 동기녀석도 다른 촌에서 왔다고 텃세 당함...
전체 9,219 / 8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9,219 / 8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