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 분류

과거 인류의 미친짓거리와 경찰의 시초

컨텐츠 정보

본문

과거 인류의 미친짓거리와 경찰의 시초

 


16세기 말부터 18세기까지 진행되었던

인클로저와 종교개혁으로

 

공유지의 사유화가 진행됨으로서

엄청난 무노동자가 발생하게 됨

 

전체 노동 가능 인구의 80%까지 무노동자가 되어버린 영국에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민법을 재창 하게 됨

 

 

(빈민법 재창 포스터)

빈민법?

 

말만 들어보면 빈민들을 위한 복지법?같은 개념 같지만

 

사실은 완전 반대...

 

빈민법 별명이 '피의 입법'일 정도로

오늘 관점에선 미친 법...

 

위에 인클로저와 종교 개 혁으로

강제로 토지 수탈의 결과 발생한 부랑자들을

비노동은 의지의 문제라고 여겨 전부 범죄자로 취급

 

 

 

 

엎친데 덮친격으로 이후 거지 면허가 시행

 

건강한 부랑자는

태형과 ‘노동 종사’에 맹세,

 

2회 땐 태형과 귀 절단,

 

3회 체포 시엔 사형 하는 미친 짓거리를 몇 십년 간 자행함

 

그래서 빈민층 부모들은 자녀에게 선물이라고

팔다리 하나씩을 잘라주는 게 성행함...

 

안 그러면 불법 거지가 돼서 노예로 살아가야 하니.,.

 

 

 

물론 여기서 멈추지 않고

 

1547년 법령 개정으로 일자리 없는 사람들은 고발한 고발자의 노예로 종속

 

만약 도주 후 2주일이 지나면 종신 노예화...

잡히면 낙인,강제 노역

 

이것 때문에 거짓 고발이 난무해서

이웃은 커녕 가족도 못 믿는 개인주의가 성행

 

웃기게도 개인주의의 개념 시초가 여기서 출발함

 

 

 

 

당연하게도 이런 빈민, 무노동자를 물리적으로 줄이는 시도는 전부 효과가 별로 없었음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일자리가 없고,

있더라도 일을 해야만 하는 사람만 수 만명

노동을 하고 싶어도 못하게 되었기 때문

 

그런데 상류층은

이런 배경 같은 건 몰겠고

 

'모든 무질서의 원천을 구걸과 게으름 '

'노동은 만병 통치약'

'게으름=반역'

'노동=윤리적'

 

으로만 생각해서

 

 

노동 교화라는 개념을 또 만듬

 

무노동자라는 반역 분자를 잡아서

노동을 시켜 교화 시킨다는 개념

 

또 바로 여기서 오늘날의 경찰이라는 개념이 나옴

 

감금과 노동을 연결하여 도덕화 된 신체,

인간을 만들려는 조치의 체계가 '폴리스' = 경찰

 

이 당시 가장 유명한 노동 교화의 핫스팟이

판옵티콘인데 이걸 기획한 사람이

 

 

”악한 자들을 갈아서

선량하게 만들고 게으른 자를 갈아서 근면 하게 만드는 맷돌”

 

이라고 언급했고

또 주변에서 엄청 수긍하는 사회 분위기라서....

 

 

그런데 또 일을 하는 노동자에게는 사회가 살기가 좋을까?

 

결론은 아님

 

 

 

대중은 오직 빈곤에 의해서 만 노동 하게 할 수 있다

 

 

라고 하면서

노동자들에게도

딱 먹고 살만한 정도의 임금만 주는 걸 강제 했음

 

 

 

노예나 죽기 싫으면

무노동자가 되어서는 안되지만

 

노동자가 되더라도 딱 굶어 죽지 않을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신분 상승 같은 건 꿈도 못 꿈

 




짝 굥과 그 일당이 꿈꾸는 세상이네... 

관련자료

  • 서명
    날으는 황웅
댓글 1
전체 9,258 / 2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9,258 / 21 페이지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