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분류

감염 확률은 희박하지만 일단 발병하면 치사율 99%인 병

컨텐츠 정보

본문










광견병

 

광견병 바이러스에 의해 걸리는 병으로 주요 감염 경로는 광견병에 걸린 개나 다른 동물에게 물리는 것.


광견병이라는 이름 때문에 개만 숙주일 것이라고 알기 쉬우나 사실 거의 모든 포유 동물이 매개체가 될 수 있음. 


그래서 개 뿐만 아니라 고양이도 광견병 필수 접종 해야 함. 


인간을 무는 가장 흔한 동물이 개이기 때문에 개가 가장 대표적인 매개체고 따라서 광견병이라는 이름이 붙음.

인간에서 인간으로 전염된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음.

 

초기 증상은 물린 부위가 감염되어 아파오는 것


이후 인두염, 두통, 구토 등의 증세가 나타나고 바이러스가 뇌까지 침투하면 정신 착란, 발작이 일어나기 시작함.


물을 극도로 무서워하는 증세도 나타나기 때문에 공수병 이라고도 불림. 


물을 마실 때 후두에 극도의 근육 경련이 일어나기 때문에 통증이 나타나고 따라서 물을 못 마시고 물 떨어지는 소리에 기겁하기도 함.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후 대개 일주일 내로 전신의 신경과 근육이 마비돼서 호흡 곤란으로 사망.


 

유일한 치료 방법은 증상이 나타나기 전 잠복기에 백신을 맞는 것. 


광견병은 잠복기가 20일~90일 정도로 상당히 긴 편이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


하지만 일단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현대 의학으로는 뾰족한 수단이 없음. 


그냥 죽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치사율이 거의 100%에 달하는 무시무시한 병이고 

기적적으로 살아남아도 후유증 때문에 정상적으로 살아가기 힘 듬.


 

광견병 걸린 개의 특징은 미쳐 날뛰면서 극도의 공격성을 보이고 다른 동물을 물려고 하는 것. 


반대로 어둡고 구석진 곳으로 들어가서 다른 동물과 최대한 마주치지 않으려고 하는 케이스도 있음.


이런 개에게 물렸을 때는 광견병을 의심해볼 것.









 

 여기까지만 말하면 너무 공포감을 심어주는 것 같아서 우리나라 광견병 발생 추이 설명


우리나라 광견병 인간 환자는 2004년 1명을 마지막으로 2005년부터는 발병한적 없고, 


동물은 2013년을 마지막으로 보고된 적 없음.


우리나라 도시에서 키우는 반려 동물은 혹시 예방 접종을 맞지 않은 동물이더라도 광견병 감염 확률 제로라고 봐도 됨. 


(그렇다고 접종하지 말란 소리는 아님. 개뿐만 아니라 고양이도 무조건 접종하세요)



'개한테 물렸는데 광견병 걸리는 거 아닌가요? ㅠㅠ' 같은 걱정은 일반적인 경우라면 안 해도 됨.


 

우리나라 광견병 중간 숙주는 북쪽에서 넘어온 너구리로 알려져 있음.


중국과 북한은 우리나라에 비해 광견병이 많이 창궐하고 있고, 


광견병 바이러스를 가진 너구리들이 휴전선을 넘어와서 퍼뜨리는 것으로 보고 있음. 


그래서 동물 광견병 사례 보고도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에 집중되어 있음.


광견병 걸린 너구리가 야산에 사는 들개나 시골에서 풀어 키우는 개와 접촉하고, 


이 개와 인간이 접촉하는 게 한국 광견병의 주요 루트


때문에 경기 강원 북부 지역에서는 너구리나 들개와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고, 


만약 물렸을 경우 즉각 병원에 달려가서 조치를 취해야 함.


국내보다는 국외가 더 위험함. 중국 인도 동남아 등에선 아직도 광견병이 창궐하고 있기 때문.


이런 나라에서 동물에게 물렸을 시에는 즉각 병원에 가서 조치를 취해야 하고, 


너무 낙후돼서 제대로 된 조치가 힘들 경우 즉각 귀국할 것을 추천.



 

관련자료

  • 서명
    날으는 황웅
전체 3,855 / 9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전체 3,855 / 9 페이지
알림 0